이승휴의 제왕운기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8 00:31
본문
Download : 이승휴의 제왕운기 고찰.hwp
고려 중․후기에 이르면 吳世文의 「歷代歌」를 비롯하여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91.
이처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못한 이유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겠으나, 무엇보다도 제왕운기를 주로 敍事詩라는 측면에서 파악한 나머지, ‘history(역사) 의 文學化’라는 관점에서 보려는 인식이 결여된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檀君神話를 수록한 가장 오래된 史書의 하나라는 점 때문에, 같은 시기에 찬술된 一然의 三國遺事와 더불어 널리 그 이름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國文學史나 國文學槪論類에서 단편적으로 언급되어 왔을 뿐, 개별적인 연구는 몇 편에 불과한 실정이다. 孫政仁, 「李承休의 帝王韻紀에 대한 이해」, 영남어문학회, 1988.
이승휴의 제왕운기 고찰
본 발
孫政仁, 「李承休의 帝王韻紀에 대한 이해」, 영남어문학회, 1988.
지금까지 제왕운기에 대한 先學들의 연구는 크게 보아서 國文學的인 측면 朴斗抱, 「帝王韻紀小考 其一, 東國君王開國年代에 대하여」, 박두포 교수 화갑기념문집 간행위원회, 1986.
이승휴의 제왕운기 고찰
에서 전개되어 왔다.
崔斗植, 韓國詠史文學硏究」, 태학사, 1987.
이승휴의 제왕운기 고찰
邊東明, 「李承休의 帝王韻紀 撰述과 그 史書로서의 性格」, 震壇學會, 1990.
李奎報의 「東明王篇」․china history(역사) 에서 소재를 택한 「開元天寶詠史詩」 같은 등의 영사시가 나타나는데, 帝王韻紀도 그런 흐름을 이어서 나타난 영사시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제왕운기」가 history(역사) 문헌이라는 한정 된 틀에서 벗어나 문학작품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60년대 중반부터이다. .
이승휴의 제왕운기 고찰
이승휴의 제왕운기 고찰
설명
車長燮, 「제왕운기에 나타난 이승휴의 history(역사) 관」, 삼척향토文化연구회, 1989.
이승휴의 제왕운기 고찰 이승휴의 제왕운기 고찰 이승휴의 제왕운기 고찰 이승휴의 제왕운기 고찰 이승휴의 제왕운기 고찰
.
순서
이승휴의 제왕운기 고찰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이승휴의 제왕운기 고찰
이승휴의 제왕운기 고찰
12~13세기는 연속된 內憂外患에 따라 국내질서는 극도로 어지러워져 上․下층이 괴리된 상태에서 민족정신은 쇠미해지고, 민족은 존망의 위기를 맞이한 난해한 시대이다. 손정인, 「이승휴의 제왕운기에 대한 이해」, 영남어문학회, 1988, p198.
朴斗抱, 「帝王韻紀小考 其二, 本朝君王世系年代에 대하여」, 박두포 교수 화갑기념문집 간행위원회, 1986.
김경수, 帝王韻紀, 도서출판 역락, 1999.
Download : 이승휴의 제왕운기 고찰.hwp( 72 )
과 國史學的인 측면 李右成, 「高麗中期의 民族敍事詩」, 논문집제 7집, 성균관대학교, 1962.





帝王韻紀는 1287년 李承休에 의하여 찬술되었다. 이러한 시대를 맞이하여 투철한 歷史․현실인식을 지녔던 이승휴는 민족사의 재인식을 통해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한편, 당대의 현실을 직시하면서 혼란한 시대를 극복하고자 제왕운기를 창작하였다.
陳寧寧, 「제왕운기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제9집,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회, 1969.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