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times.co.kr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 > bttimes1 | bttimes.co.kr report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 > bttimes1

본문 바로가기

bttimes1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0 07:17

본문




Download :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hwp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
.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

.
俗喜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

常用十月祭天 晝夜飮酒歌舞 名之爲舞天 (예는) 해마다 10월이면 하늘에 제사를 올리는데, 이 때는 밤낮으로 술 마시고 노래부르고 춤추면서 논다.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
순서

Download :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hwp( 99 )


常以五月下種訖 祭鬼神 群聚歌舞飮酒 晝夜無休 其舞數十人 俱起相隨踏地低昻 手足相應 節奏有似鐸舞 十月農功畢 亦復如上 (마한은) 매년 5월이 되면 씨를 다 뿌리고 귀신에게 제사를 올린다. 이 행사를 舞天이라고 부른다. 그냥 포괄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일체적 유대 속에 융합하고 있는 것이다.

其民喜歌舞 國中邑落 暮夜男女群聚 相就歌戱 以十月祭天 國中大會 名曰東盟 (…) 十月 國中大會 迎隧神 還於國東 上祭之置 木隧於神坐 (고구려는) 그 백성들이 노래와 춤을 좋아하여 마을에서는 밤낮으로 남녀가 모여 서로 노래하며 즐긴다. 대체로 晋의 陳壽(233~297)의 󰡔三國志󰡕 중 <魏志 東夷傳>에 나타난 제천의식에 관한 기록으로 그 발생을 설명(說明)하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김학성, 「상대시가의 미의식 유형체계」,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pp.67~68.
다.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
한민족의 제천의례와 그에 따르는 시․음악․춤의 존재에 상대하여는 영세한 문헌 기록으로 인해 쉽게 파악할 수 없다. 둘째로는 당시의 culture단계에는 문자가 없었기 때문일것이다 현전하는 세 편의 작품 또한 한역된 가사로만 전하며, 그나마도 기록으로 정착될 때까지 형태 및 내용이 변화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상고 시가에 대한 접근은 한국 시가 형성의 history(역사) 적 양상을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둘 수밖에 없고, 문자가 없던 시대이자 신화와 history(역사) 가 분명히 갈라지지 않았던 시기의 소산이므로 reference(자료)의 표면적 내용뿐 아니라 그 이면에 담긴 history(역사) 적 의미까지 파악해야 한다. 이 시기는 우리 시가의 발생단계에서부터 향가 생성 이전까지로, 이 시기의 작품을 일컬어 상고시가 이외에도 上古歌謠, 上代詩歌, 上代歌謠, 古代詩歌, 古代歌謠 등 다양한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
以殷正月 祭天 國中大會 連日飮食歌舞 名曰迎鼓 (…) 行道晝夜 無老幼皆歌 連日聲不絶 (부여는) 殷의 역법으로 정월에 하늘을 제사지낸다. 춤을 출 때에는 수십 명이 한꺼번에 일어나서 서로 뒤를 따르며 땅을 밟고 높이 뛰었다가 내려오고, 손과 발이 서로 호응하며, 절주는 꼭 china의 鐸舞와 유사하다. 이 때 모든 사람들이 모여서 밤낮을 쉬지 않고 노래하고 춤추며 술을 마신다. 이 때 국내에서는 성대한 모임을 마련하여 날마다 먹고 마시고 노래부르며 춤을 추는데, 이를 迎鼓라고 부른다. (…) 길을 갈 때에는 밤이든 낮이든 간에 노인 어린아이 할 것 없이 모두 노래를 부르기 때문에 하루 종일 노래 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상고시가의 본질은 의심할 여지 없이 신화 또는 제의와의 상관 하에서 찾을 수 있다 제의는 그 내부에 시와 음악과 춤을 포함하며, 또한 고대인의 우주론과 신화를 동시에 포괄한다.




설명
上古詩歌는 한국시가문학사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나타난 일련의 작품을 일괄하여 부르는 편의상의 명칭이다. (…) 10월에 하늘에 제사지내는데 이 때 국내에서는 성대한 연회를 연다. 11월에 농사일이 끝났을 때도 역시 이와 똑같이 한다. 이것을 東盟이라 한다.
Ⅱ. 시가의 발생과 제천의식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그러므로 상고시가의 발생 또한 신화 또는 제의와의 연관성 하에서 찾을 수 있다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


이 단계의 시가 연구는 장르로서의 내적 동질성을 밝히는 작업보다는 형성과정을 밝히는 데 집중되고 있다 그 이유는 첫째로 reference(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일것이다 이 시기의 시가로 현전하는 작품은 <黃鳥歌>, <龜旨歌>, <公無渡河歌> 세 편뿐이며, 작품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다른 문헌도 외국인의 단편적이고 피상적인 기록 정도에 불과하다. (…) 10월에 국내에서 성대한 연회를 열어 隧神을 영접하여 나라의 동쪽으로 돌아가 그를 제사지내고, 나무로 만든 隧를 신좌에 놓는다.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5828_01_.jpg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5828_02_.jpg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5828_03_.jpg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5828_04_.jpg 한국시가의 발생과 상고시가-5828_05_.jpg
본고에서는 먼저 시가의 발생 가능성을 고대의 제천의식에서 행해진 음주가무에서 찾고, 다음으로는 현전하는 세 편의 한역 상고시가를 중심으로, 배경설화를 통한 발생과정 규명과 한역시가의 의미 해석에 대해 기존의 논의를 정리(arrangement)하는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bttimes.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bttimes.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