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工學(공학) ] 자동차융합 experiment(실험) -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보의 처짐 시뮬레이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18 04:15
본문
Download : [공학] 자동차융합 실험 -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보의 처짐 시뮬레이션.hwp
그러나 실제 부피 계산을 위한 유한요소 요구사항은 높이와 폭이 아니고 단면의 면적이기 때문에 높이 값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한다.
P=0.981N, L=300mm,
I= = =
=10.8mm
E
(Young`s modulus)
E= =
이므로
반올림 해서 Mpa이다.
2) 위 표를 이용하여 값을 표시하고 1차식 추세선으로 표현
3) 측정(測定) 된 보의 강성(k) 도출
굽힘 公式 : =`
4) 위 값을 이용하여 영계수 (Young`s modulus) 도출
을 이용하여 구한다.
공학,자동차융합,실험,유한요소법,이용한,보,처짐,시뮬레이션,기타,실험결과
[공학] 자동차융합 실험 -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보의 처짐 시뮬레이션 , [공학] 자동차융합 실험 -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보의 처짐 시뮬레이션기타실험결과 , 공학 자동차융합 실험 유한요소법 이용한 보 처짐 시뮬레이션
순서
설명
자동차융합 實驗(실험) -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보의 처짐 시뮬레이션
1. 實驗(실험) 측정(測定) 값
1)實驗(실험) 측정(測定) 값 비교
추 무게
theory 값
實驗(실험) 값
beam요소를 이용한 해석
shell 요소를 이용한 해석
solid 요소를 이용한 해석
변위
(mm)
0
0
0
0
0
0
100g
10.76
11
10.76
10.65
10.63
200g
21.51
23
21.51
21.3
21.26
300g
32.27
34
32.27
31.94
31.89
400g
43.03
43
43.03
42.59
42.52
500g
53.78
54
53.78
53.24
53.15
theory 값은 굽힘公式 을 이용해서 값을 구했다. 이러한 결과로 전단응력의 영향이 커져 결과 값에서 다른 차원에 비해…(생략(省略))
[工學(공학) ] 자동차융합 experiment(실험) -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보의 처짐 시뮬레이션
실험결과/기타
[工學(공학) ] 자동차융합 experiment(실험) -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보의 처짐 시뮬레이션
![[공학]%20자동차융합%20실험%20-%20유한요소법을%20이용한%20보의%20처짐%20시뮬레이션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C%9E%90%EB%8F%99%EC%B0%A8%EC%9C%B5%ED%95%A9%20%EC%8B%A4%ED%97%98%20-%20%EC%9C%A0%ED%95%9C%EC%9A%94%EC%86%8C%EB%B2%95%EC%9D%84%20%EC%9D%B4%EC%9A%A9%ED%95%9C%20%EB%B3%B4%EC%9D%98%20%EC%B2%98%EC%A7%90%20%EC%8B%9C%EB%AE%AC%EB%A0%88%EC%9D%B4%EC%85%98_hwp_01.gif)
![[공학]%20자동차융합%20실험%20-%20유한요소법을%20이용한%20보의%20처짐%20시뮬레이션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C%9E%90%EB%8F%99%EC%B0%A8%EC%9C%B5%ED%95%A9%20%EC%8B%A4%ED%97%98%20-%20%EC%9C%A0%ED%95%9C%EC%9A%94%EC%86%8C%EB%B2%95%EC%9D%84%20%EC%9D%B4%EC%9A%A9%ED%95%9C%20%EB%B3%B4%EC%9D%98%20%EC%B2%98%EC%A7%90%20%EC%8B%9C%EB%AE%AC%EB%A0%88%EC%9D%B4%EC%85%98_hwp_02.gif)
![[공학]%20자동차융합%20실험%20-%20유한요소법을%20이용한%20보의%20처짐%20시뮬레이션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C%9E%90%EB%8F%99%EC%B0%A8%EC%9C%B5%ED%95%A9%20%EC%8B%A4%ED%97%98%20-%20%EC%9C%A0%ED%95%9C%EC%9A%94%EC%86%8C%EB%B2%95%EC%9D%84%20%EC%9D%B4%EC%9A%A9%ED%95%9C%20%EB%B3%B4%EC%9D%98%20%EC%B2%98%EC%A7%90%20%EC%8B%9C%EB%AE%AC%EB%A0%88%EC%9D%B4%EC%85%98_hwp_03.gif)
![[공학]%20자동차융합%20실험%20-%20유한요소법을%20이용한%20보의%20처짐%20시뮬레이션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C%9E%90%EB%8F%99%EC%B0%A8%EC%9C%B5%ED%95%A9%20%EC%8B%A4%ED%97%98%20-%20%EC%9C%A0%ED%95%9C%EC%9A%94%EC%86%8C%EB%B2%95%EC%9D%84%20%EC%9D%B4%EC%9A%A9%ED%95%9C%20%EB%B3%B4%EC%9D%98%20%EC%B2%98%EC%A7%90%20%EC%8B%9C%EB%AE%AC%EB%A0%88%EC%9D%B4%EC%85%98_hwp_04.gif)
![[공학]%20자동차융합%20실험%20-%20유한요소법을%20이용한%20보의%20처짐%20시뮬레이션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C%9E%90%EB%8F%99%EC%B0%A8%EC%9C%B5%ED%95%A9%20%EC%8B%A4%ED%97%98%20-%20%EC%9C%A0%ED%95%9C%EC%9A%94%EC%86%8C%EB%B2%95%EC%9D%84%20%EC%9D%B4%EC%9A%A9%ED%95%9C%20%EB%B3%B4%EC%9D%98%20%EC%B2%98%EC%A7%90%20%EC%8B%9C%EB%AE%AC%EB%A0%88%EC%9D%B4%EC%85%98_hwp_05.gif)
![[공학]%20자동차융합%20실험%20-%20유한요소법을%20이용한%20보의%20처짐%20시뮬레이션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C%9E%90%EB%8F%99%EC%B0%A8%EC%9C%B5%ED%95%A9%20%EC%8B%A4%ED%97%98%20-%20%EC%9C%A0%ED%95%9C%EC%9A%94%EC%86%8C%EB%B2%95%EC%9D%84%20%EC%9D%B4%EC%9A%A9%ED%95%9C%20%EB%B3%B4%EC%9D%98%20%EC%B2%98%EC%A7%90%20%EC%8B%9C%EB%AE%AC%EB%A0%88%EC%9D%B4%EC%85%98_hwp_06.gif)
Download : [공학] 자동차융합 실험 -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보의 처짐 시뮬레이션.hwp( 44 )
다. 3D에서 1D로 갈수록 오차율은 점차 낮아 졌다.
2) 위 표를 이용하여 값을 표시하고 1차식 추세선으로 표현
3) 측정(測定) 된 보의 강성(k) 도출
굽힘 公式 : =`
4) 위 값을 이용하여 영계수 (Young`s modulus) 도출
을 이용하...
자동차융합 實驗(실험) -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보의 처짐 시뮬레이션
1. 實驗(실험) 측정(測定) 값
1)實驗(실험) 측정(測定) 값 비교
추 무게
theory 값
實驗(실험) 값
beam요소를 이용한 해석
shell 요소를 이용한 해석
solid 요소를 이용한 해석
변위
(mm)
0
0
0
0
0
0
100g
10.76
11
10.76
10.65
10.63
200g
21.51
23
21.51
21.3
21.26
300g
32.27
34
32.27
31.94
31.89
400g
43.03
43
43.03
42.59
42.52
500g
53.78
54
53.78
53.24
53.15
theory 값은 굽힘公式 을 이용해서 값을 구했다.
5)문제 1에서 각 요소(beam, shell, solid)별 오차 요인 analysis
theory 값과 가장 근접한 값은 beam일 때 가장 근사값을 가졌다. 3D 요소인
solid가 실제 물체와 가장 자세한 묘사를 했지만 오차율은 theory 값, 實驗(실험)값과 가장 크게 나왔다. 선으로 구성되있기 때문에 단면의 치수에 비하여 길이가 긴 부재의 굽힘변형을 받을 때 주로 사용 되므로 긴 보를 해석하는데 유용하다.
먼제 beam요소는 1D로 구성된 선요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