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 악지의 내용과 구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30 02:27
본문
Download : 고려사 악지의 내용과 구성.hwp
.
고려사 악지의 내용과 구성
.
설명
행함으로써 종결되었다. 3. 『악지』의 내용
『악지』의 제일 앞에는 다음과 같은 총서가 붙어 있다
1.2『고려사』의 성격
을 분리하여 다룸으로써 『송사』의 체제를 따른 characteristic(특성)을 지니고 있다 『지』전반이 『원사 』의 편목을 따르면서도 『악지』만 이렇게 처리한 것은 음악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할 뿐 아니라, 고려 음악의 높은 수준을 특별하게 평가한 편찬자의 안목이 작용한데 말미암은 것
고려사 악지의 내용과 구성
.
『고려사』는 『세가』46권, 『지』39권, 『연표』2권, 『열전』50권, 목록 2권 등 총 139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는 천문, 역, 오행, 지리, 예, 악, 여복, 선거, 백관, 식화, 병, 형법 등의 순서로 기술된 십이지 39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는 『원사』의 분류와 서술체계를 따르고 있는데, 각지의 맨 앞에는 편찬자의 총서가 실려있다 이 서는 대개 일반론과 실재 사실에 대한 개설적인 설명(說明)으로 되어 있는데, 그것들은 짧은 글로 고려의 제반제도에 대한 편찬자의 명확한 비판적 인식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고려의 제도를 이해하는 기준이되어 왔다. 그러나 그것은 태조 4년 1월에 완료된 정총(鄭摠), 정도전(鄭道傳)의 총 37권의『고려국사(高麗國史)』에서 세종 24년 8월에 완성된 신개(申槩), 권재(權蹄) 등의『 고려전문사』까지 반세기에 걸쳐 4회나 진행되었음에도 종결되지 못하였다. 여운필 2009『고려사 악지에 대하여』신라대학교 논문집 제59집
2. 『악지』의 대략적 구성
다. 그러한 난항 은 그것이 요긴하면서도 사관(史觀)의 차이나 사실(事實)에 대한 왜곡여부 용어문제 등으로 논 란거리가 많은 사업이었기 때문에 생긴 것이었다. 여운필 2009『고려사 악지에 대하여』신라대학교 논문집 제59집
『고려사』는 편찬 사업은 이태조가 즉위한 지 석달 뒤인 원년(1392) 10월에 착수될 만큼 일찍 처음 되었다. 이러한 사관을 바탕으로 하고, 건국의 정당화와 사대명분론을 바차적 사관으로 하여 편찬된 이 책의 歷史(역사)적 의의는 구왕조를 타도하는 데 성공한 사대부들의 승
2. 『악지』의 대략적 구성
순서
3.2 당악
마침내 세종(世宗) 31년 정월에 김종서(金宗瑞), 정인지(鄭麟趾)등이 다섯 번째로 착수하여 문종(文宗) 원년(1451) 8월에 원고를 완성하고, 3년뒤인 단종(端宗) 2년(1454) 10월에 간
3.1 아악
고려사 악지의 내용과 구성
3.4 삼국의 속악
1.1 『고려사』의 편찬과정
『고려사』의 여섯 번째 『지』로 속칭 『악지』는 제70, 71권 『지』제 24, 25권에 해당 하는 것으로서 『한서』, 『당서』, 『원사』처럼 예와 악을 묶어서 예악지로 하지 않고, 둘
으로 보인다.
고려사 악지의 내용과 구성
고려사 악지의 내용과 구성 고려사 악지의 내용과 구성 고려사 악지의 내용과 구성 고려사 악지의 내용과 구성 목 차 1. 『고려사』의 편찬과정과 성격 1.1 『고려사』의 편찬과정 1.2 『고려사』의 성격 2. 『악지』의 대략적 구성 3. 『악지』의 내용 3.1 아악 3.2 당악 3.3 속악 3.4 삼국의 속악
1.2 『고려사』의 성격
1. 『고려사』의 편찬과정과 성격
리를 정당화하려는 노력의 표현이라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이기백 1976『고려사 해제』
고려사 악지의 내용과 구성
목 차
Download : 고려사 악지의 내용과 구성.hwp( 16 )
3.3 속악
고려사 악지의 내용과 구성
夫樂者所以樹風化象功德者也. 高麗太祖草創大業而成宗立郊社躬禘祫自後文物始備. 而典籍不存未有所考也. 睿宗朝宋賜新樂又賜大晟樂恭愍時.太祖皇帝特賜雅樂遂用之于朝廟. 又雜用唐樂及三國與
고려사 악지의 내용과 구성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조선왕조를 건국한 주인공인 사대부 계층의 고려왕조에 대한 이해를 정리(整理) 한 이 책에는 유 교에 바탕을 둔 도덕적 합리주의 사관이 지배하고 있다 이는 China과 한국의 전통적인 사관 이자 당시의 집권층인 사대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이므로, 고려조의 흥망에 대한 이해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