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구조문법 통어론의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3 20:39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 구조문법 통어론의 연구.hwp
Ⅰ. 序論 1. 史的 發達의 特殊性
2. Syntax의 槪念
3. Syntax와 品詞
4. Sentence
Ⅱ. 成分論 1. 글월의 成分
2. 成分分類의 諸說
3. 成分의 分類
4. 成分의 자리
Ⅲ. 句節論 1. 句節의 形成
2. 職能的 分類
3. 相對的 分類
4. 句讀法
Ⅳ. 解剖論 1. 글월의 構成
2. 構文 圖解法
3. 圖解의 例
4. 글월의 基本形
3.1.1. 서론
[사적 발달의 특수성]에서 당대의 통어론 연구의 problem(문제점)을 정리(整理) 하고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허 웅(1983)은 주로 기술언어학의 통어론의 방법론을 introduce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기에, 한국어 통어론의 전체 모습은 드러나 있지 않다. 김민수(1960)에서는 한국어 통어론을 개관하였다. 허 웅(1983)은 주로 기술언어학의 통어론의 방법론을 introduce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기에, 한국어 통어론의 전체 모습은 드러나 있지 않다.
먼저, 문법론의 궁극적인 목표(目標)가 월의 구성을 관찰하는 것인데, 실제로 문장을 작성하는데 활용되지 않는다.
3.1. 김민수(1960)
김민수(1960)의 통어론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각 내용을 간략히 정리(整理) 해 둔다. 그 까닭의 하나는 지금까지의 문법 연구가 ‘실용적 문법’, 곧 ‘글을 잘 쓰게 하는 방법’에 기본점을 두지 않았기 때문일것이다 다른 까닭으로는 우리말 자체가 품사론에 치중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그리고 이에 대하여 다음의 세 가지 방법을 가정하였다.
[사회복지] 구조문법 통어론의 연구 , [사회복지] 구조문법 통어론의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사회복지 구조문법 통어론
Download : [사회복지] 구조문법 통어론의 연구.hwp( 68 )
[사회복지] 구조문법 통어론의 연구
통어론의 연구
여기서는 김민수(1960)과 허 웅(1963), 허 웅(1983)을 introduce해 둔다. 고립적 태도라고도 할 수 있다
② 서구주의적 방법: 인도-게르만어를 중심으로 하여 연구된 문법체계를 무비판적으로 갖다가 국어에 들여 맞추려는 태도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에는 일찍이 일인들이 받아들인 것을 것을 맹목적으로 …(省略)
설명
[사회복지] 구조문법 통어론의 연구
순서
![[사회복지]%20구조문법%20통어론의%20연구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A%B5%AC%EC%A1%B0%EB%AC%B8%EB%B2%95%20%ED%86%B5%EC%96%B4%EB%A1%A0%EC%9D%98%20%EC%97%B0%EA%B5%AC_hwp_01.gif)
![[사회복지]%20구조문법%20통어론의%20연구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A%B5%AC%EC%A1%B0%EB%AC%B8%EB%B2%95%20%ED%86%B5%EC%96%B4%EB%A1%A0%EC%9D%98%20%EC%97%B0%EA%B5%AC_hwp_02.gif)
![[사회복지]%20구조문법%20통어론의%20연구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A%B5%AC%EC%A1%B0%EB%AC%B8%EB%B2%95%20%ED%86%B5%EC%96%B4%EB%A1%A0%EC%9D%98%20%EC%97%B0%EA%B5%AC_hwp_03.gif)
![[사회복지]%20구조문법%20통어론의%20연구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A%B5%AC%EC%A1%B0%EB%AC%B8%EB%B2%95%20%ED%86%B5%EC%96%B4%EB%A1%A0%EC%9D%98%20%EC%97%B0%EA%B5%AC_hwp_04.gif)
![[사회복지]%20구조문법%20통어론의%20연구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A%B5%AC%EC%A1%B0%EB%AC%B8%EB%B2%95%20%ED%86%B5%EC%96%B4%EB%A1%A0%EC%9D%98%20%EC%97%B0%EA%B5%AC_hwp_05.gif)
![[사회복지]%20구조문법%20통어론의%20연구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A%B5%AC%EC%A1%B0%EB%AC%B8%EB%B2%95%20%ED%86%B5%EC%96%B4%EB%A1%A0%EC%9D%98%20%EC%97%B0%EA%B5%AC_hwp_06.gif)
사회복지,구조문법,통어론,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다.
Ⅰ. 序論 1. 史的 發達의 特殊性
2. Syntax의 槪念
3. Syntax와 品詞
4. Sentence
Ⅱ. 成分論 1. 글월의 成分
2. 成分分類의 諸說
3. 成分의 分類
4. 成分의 자리
Ⅲ. 句節論 1. 句節의 形成
2. 職能的 分類
3. 相對的 分類
4. 句讀法
Ⅳ. 解剖論 1. 글월의 構成
2. 構文 圖解法
3. 圖解의 例
4. 글월의 基本形
3.1.1...
통어론의 연구
여기서는 김민수(1960)과 허 웅(1963), 허 웅(1983)을 introduce해 둔다.
3.1. 김민수(1960)
김민수(1960)의 통어론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각 내용을 간략히 정리(整理) 해 둔다. 김민수(1960)에서는 한국어 통어론을 개관하였다.
① 국학주의적 (국수주의적) 방법: 국어의 전통과 본성을 높이 평가하며, 국어는 국어로서의 독특한 성질이 있으므로, 서구적 理論(이론)을 차치하려는 태도에서 이루어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