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현대시론] 곽재구의 시 ‘사평역에서’ 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8 15:02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현대시론] 곽재구의 시 `사평역에서` 분석.hwp
Download : [사회과학] [현대시론] 곽재구의 시 `사평역에서` 분석.hwp( 12 )
[사회과학] [현대시론] 곽재구의 시 ‘사평역에서’ 분석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그리고 오래 앓은 기침소리와 쓴 약 같은 입술 담배 연기 는 모두 삶의 고단함과 슬픔을 나타내는 소재라고 할 수 있다
눈꽃의 화음에 귀를 적…(투비컨티뉴드 )
설명
사회과학,현대시론,곽재구,시,사평역에서,인문사회,레포트
![[사회과학]%20[현대시론]%20곽재구의%20시%20`사평역에서`%20분석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5B%ED%98%84%EB%8C%80%EC%8B%9C%EB%A1%A0%5D%20%EA%B3%BD%EC%9E%AC%EA%B5%AC%EC%9D%98%20%EC%8B%9C%20%60%EC%82%AC%ED%8F%89%EC%97%AD%EC%97%90%EC%84%9C%60%20%EB%B6%84%EC%84%9D_hwp_01.gif)
![[사회과학]%20[현대시론]%20곽재구의%20시%20`사평역에서`%20분석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5B%ED%98%84%EB%8C%80%EC%8B%9C%EB%A1%A0%5D%20%EA%B3%BD%EC%9E%AC%EA%B5%AC%EC%9D%98%20%EC%8B%9C%20%60%EC%82%AC%ED%8F%89%EC%97%AD%EC%97%90%EC%84%9C%60%20%EB%B6%84%EC%84%9D_hwp_02.gif)
![[사회과학]%20[현대시론]%20곽재구의%20시%20`사평역에서`%20분석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5B%ED%98%84%EB%8C%80%EC%8B%9C%EB%A1%A0%5D%20%EA%B3%BD%EC%9E%AC%EA%B5%AC%EC%9D%98%20%EC%8B%9C%20%60%EC%82%AC%ED%8F%89%EC%97%AD%EC%97%90%EC%84%9C%60%20%EB%B6%84%EC%84%9D_hwp_03.gif)
레포트/인문사회
[사회과학] [현대시론] 곽재구의 시 ‘사평역에서’ 분석
다.
[사회과학] [현대시론] 곽재구의 시 ‘사평역에서’ 분석
순서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이 시에서 처음에 나오는 막차는 기다림의 대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막차`로 연상되는 `시간적인 소멸감, 외로움과 쓸쓸함이 이 시의 서정적 분위기와 정서를 지배하고 있다
즉 이시의 분위기를 만들어 애고 있다고 할수있다 대합실도 역시 서민들의 삶의 애환이 느껴지는 공간이라고 할 수있다
이 시에서 대합실 밖에는 눈이 내리고 있는데 안에는 톱밥난로가 지펴지고 있다
여기서 톱밥난로는 흰 보라 수수꽃 눈시린 유리창과 대비되어 따뜻한 이미지를 주어서 위로의 존재가 된다된다.
그믐처럼 몇은 졸고, 몇은 감기에 쿨럭이고 는 고단한 삶을 드러내고있다
그리고 청색의 손바닥을 불빛 속에 적셔 주고는 청색의 손바닥은 추운겨울을 나타내고 삶의 고단함을 드러내며 불빛과 색이 비교되어 삶의 고단함을 더 와닿게 한다. , [사회과학] [현대시론] 곽재구의 시 ‘사평역에서’ 분석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현대시론 곽재구 시 사평역에서
현대시론
<‘사평역에서’ analysis(분석) >
사평역에서
곽재구
막차는 좀처럼 오지 않았다
대합실 밖에는 밤새 송이눈이 쌓이고
흰 보라 수수꽃 눈시린 유리창마다
톱밥난로가 지펴지고 있었다
그믐처럼 몇은 졸고
몇은 감기에 쿨럭이고
그리웠던 순간들을 생각하며 나는
한줌의 톱밥을 불빛 속에 던져 주었다
내면 깊숙히 할 말들은 가득해도
청색의 손바닥을 불빛 속에 적셔두고
모두들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산다는 것이 때론 술에 취한 듯
한 두릅의 굴비 한 광주리의 사과를
만지작거리며 귀향하는 기분으로
침묵해야 한다는 것을
모두들 알고 있었다
오래 앓은 기침소리와
쓴 약 같은 입술 담배 연기 속에서
싸륵싸륵 눈꽃은 쌓이고
그래 지금은 모두들
눈꽃의 화음에 귀를 적신다
자정 넘으면
낯설음도 뼈 아픔도 다 설원인(原因)데
단풍잎 같은 몇 잎의 차창을 달고
밤열차는 또 어디로 흘러 가는지
그리웠던 순간들을 호명하며 나는
한줌의 눈물을 불빛 속에 던져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