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학기 일본어문법 기말시험 核心체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04 07:20
본문
Download : 20172_기말_일본2_일본어문법.pdf
第10課 立秋
2017년 2학기 일본어문법 기말시험 核心체크
- 중략 -
第6課 注文
第8課 花火大会
1. 동사를 가능동사로 만드는 방법
설명
★가능표현★
第14課 待ち合わせ
1) 1그룹동사의 경우
第12課 幼なじみ
순서





다.
第5課 デートの誘い
第5課 デートの誘い 第6課 注文 第7課 食後の散歩 第8課 花火大会 第9課 二日酔い 第10課 立秋 第11課 習い事 第12課 幼なじみ 第13課 試験 第14課 待ち合わせ 第15課 日本{語上達の秘訣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해설포함) *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해설포함) *
2그룹동사의 경우는 동사 어간에 가능의 의미를 나타내는「られる」를 붙여 가능동사를 만든다. 日本 어에서 가능을 나타내는 표현 방법에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방법이 있다아
Download : 20172_기말_일본2_일본어문법.pdf( 70 )
문법의 달인
第7課 食後の散歩
방송통신 > 기말시험
第11課 習い事
第15課 日本{語上達の秘訣
第9課 二日酔い
第5課 デートの誘い
예를 들어 書く의 경우, 書く를 어간과 어미로 나눈 書-く(ku)중에서 어미의 모음 「u」를「e」로 바꾼 형태인 書-け(ke)에 「る」를 접속시킨 형태인 書ける는 가능동사가 된다 즉, 書く(쓰다) → 書ける(쓸 수 있다)가 되는 것이다.
일본어문법,방통대일본어문법,방송대일본어문법,일본어문법요약,일본어문법핵심
가능표현이란 주어가 어떠한 행위나 동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문법범주이다. 예를 들면, 「着る」의 경우, 동사 어간「着」에「られる」를 접속시킨 형태인「着」られる는 가능동사가 된다 着る(입다) → 「着」られる(입을 수 있다)가 된다
2) 2그룹동사의 경우
第13課 試験
동사의 어미「u」모음으로 바꾸고 「る」를 접속시켜 가능동사를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