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론] 중용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08 22:27본문
Download : [동양철학론] 중용에 대해서.hwp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중용은 공자의 손자이며 증자(曾子)의 제자인 자사(子思)가 요임금으로부터 공자에 이르기까지의 중용(中庸)사상을 체계적으로 요약한 것인데, 중용을 보면 여러 구절에서 그 시대상을 보면 중용 전부를 자사가 직접 쓴 글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따 또 자왈(子曰:)이라는 어구에서 “자“를 확실히 공자를 가리키는 것인지 자사를 가리키는 것인지 분명치 않은 데가 많다.
![[동양철학론] 중용에 대해서-1146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3/%5B%EB%8F%99%EC%96%91%EC%B2%A0%ED%95%99%EB%A1%A0%5D%20%EC%A4%91%EC%9A%A9%EC%97%90%20%EB%8C%80%ED%95%B4%EC%84%9C-1146_01_.gif)
![[동양철학론] 중용에 대해서-1146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3/%5B%EB%8F%99%EC%96%91%EC%B2%A0%ED%95%99%EB%A1%A0%5D%20%EC%A4%91%EC%9A%A9%EC%97%90%20%EB%8C%80%ED%95%B4%EC%84%9C-1146_02_.gif)
![[동양철학론] 중용에 대해서-1146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3/%5B%EB%8F%99%EC%96%91%EC%B2%A0%ED%95%99%EB%A1%A0%5D%20%EC%A4%91%EC%9A%A9%EC%97%90%20%EB%8C%80%ED%95%B4%EC%84%9C-1146_03_.gif)
![[동양철학론] 중용에 대해서-1146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3/%5B%EB%8F%99%EC%96%91%EC%B2%A0%ED%95%99%EB%A1%A0%5D%20%EC%A4%91%EC%9A%A9%EC%97%90%20%EB%8C%80%ED%95%B4%EC%84%9C-1146_04_.gif)
![[동양철학론] 중용에 대해서-1146_05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3/%5B%EB%8F%99%EC%96%91%EC%B2%A0%ED%95%99%EB%A1%A0%5D%20%EC%A4%91%EC%9A%A9%EC%97%90%20%EB%8C%80%ED%95%B4%EC%84%9C-1146_05_.gif)
《중용(中庸)》은 오경(五經)의 하나인 《예기(禮記)》에 있는 〈중용편(中庸篇)〉이 송(宋)나라 때 단행본이 된 것으로,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와 함께 사서(四書)로 불리고 있으며, 송학(宋學)의 중요한 교재가 되었다. 대체로 지금의 중용은 자사가 쓴 자사자의 첫 편을 바탕으로 하여 진(
(2) 《중용》의 작자
[동양철학론] 중용에 대하여 - 대학 리포트 제출자료(data)
(1) 《중용》은...
설명
[동양철학론] 중용에 대해서 - 대학 레포트 제출자료
Download : [동양철학론] 중용에 대해서.hwp( 96 )
순서
[동양철학론] 중용에 대하여
중용에 대해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