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상담과 상담관계 조성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6 20:21
본문
Download : 초기상담과 상담관계 조성방법.hwp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1. 상담관계 준비 및 형성
2. 내담자의 상담목적 파악과 문제의 배경 요인에 대한 탐색
3. 상담과정과 전술
1) 정신치료적 상담의 목적과 기본theory(이론)
2) 내담자
3) 상담자
4. 정신치료적 상담의 처음
5. 정신치료적 상담의 중간과정
6. 상담의 종결
4. 정신치료적 상담의 처음
최초면담에서 내담자가 이야기하고 상담자는 들으면서 처음 한다. 상담의 전체기간에 대상으로하여도 어떤 예언을 할 수 없다.
정신치료적 상담은 최초면담에서 내담자가 이야기하고 상담자는 들으면서 처음 한다.
(2) 내담자는 배운다
초기면담의 두 번째 goal(목표) 인 내담자를 상담작업에 익숙하도록 준비시키는 학습은 최초만남에서부터 처음 된다 초기면담에서 상담자는 질문하고 관심을 보이면서 좀더 적극적이지만 점차적으로 조용한 관찰자가 …(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초기상담과 상담관계 조성방법
Download : 초기상담과 상담관계 조성방법.hwp( 54 )
순서
상담과정 분석을 통하여 초기상담과 상담관계 조성방법을 고찰한 리포트입니다. 주로 통찰적 상담(방어를 해체하는)는 일주일에 두 번 내지 세 번 정도의 면담을 하고, 지지적 상담(방어를 강화하는)는 일주일에 한번 혹은 그 이하로 면담을 한다.
ㄴ) 면담방법과 상담작업과정에 내담자가 익숙해지도록 한다-앞으로의 만남에 있어서 맡게될 역할에 내담자가 대비하도록 하는 보다 장기적인 goal(목표) 를 지니고 있다
(1) 정신치료적 상담의 승낙과 사절
상담하려고 결정되면, 내담자를 돕는데 관심이 있음을 밝히고 약속과 시간 등에 대한 치료계획의 윤곽을 說明(설명) 해 준다. 내담자가 말을 하고 있을 때 상담자의 발언은 질문과 중재에 제한되며, 해석은 보류되어야 한다.
초기상담과상담관계조성방법
다. 첫 번째 또는 두 번째의 면담동안 상담자는 두가지 goal(목표) 를 가지고 있다
ㄱ) 수집된 자료(資料)를 근거로 기초적인 임상적 진단과 역동적 진단을 내린다-내담자가 상담에 적합한가, 그리고 대충 어떠한 상담방법을 쓸 것인가, 예를 들어 지지적 상담을 할 것인가 또는 통찰적 상담을 할 것인가를 결정해 준다. 초기상담과상담관계조성방법 , 초기상담과 상담관계 조성방법인문사회레포트 ,
상담과정 analysis을 통하여 초기상담과 상담관계 조성방법을 고찰한 리포트입니다.
상담자는 주로 듣는 입장이며 때때로 질문하고, 그리고 내담자를 혼란시키고 사실 발견과정을 방해하는 지나친 감정의(定義) 격앙을 막기 위해 적극적인 조치를 취한다. 훌륭한 경청자가 훌륭한 상담자다. 면담횟수는 경우에 따라 다르다. 이때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완치될 것을 약속해서는 안 된다 정신치료적 상담을 통해서 상담자가 내담자를 구해줄 수 있을지는 알 수 없지만 이와 같은 시도를 해보는 것이 가치 있을 것이라고 느낀다는 점을 바탕으로 하여 동의가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