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주론을 읽은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02 21:24
본문
Download : 군주론을 읽고.hwp
도덕과 정치를 분리시켜 말하게 된 이유와, 정치적인 결정 속에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이야기 해주는 군주론. 나는 결과적으로 마키아벨리와 같은 생각을 갖고 있고, 그 전부터 마키아벨리 사상과 크게 다르지 않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II. 본 론
Download : 군주론을 읽고.hwp( 17 )
III. 결 론
(우리나라 정치적 상황과 마키아벨리즘)
군주론,독후감
설명
다.
I. 서 론
I. 서 론 - 왜 군주론을 읽어야 하는가? - 정치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 - 지도자의 필요성 II. 본 론 1. 마키아벨리의 삶과 배경 (시오노 나나미의 ‘나의 친구 마키아벨리’ 를 읽고...) 2. 마키아벨리가 말하는 정치적 지도자상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을 읽고...) 3. ‘마키아벨리즘’은 악의 생각이 아니다. - 칼자루를 쥐고 있어야 살아남는다. 국민들은 정치인들을 감시하고, 그들의 활동에 대해 진지하게 이야기 하며 자신의 입장을 확고하게 주장하기도 하고, 단순하게 술안주거리로 다루기도 한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군주론을 읽은후
(18대 대선 BBK사건, 김용철 변호사 떡값폭로에 비난)





- 칼자루를 쥐고 있어야 살아남는다. TV(뉴스, 시사), 신문에서 정치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히 크고, 인터넷(Internet)의 대중화는 정치에 더욱 밀접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해주었고, 일반 대중들의 정치참여와 관심은 나날이 늘어갔다.
- 왜 군주론을 읽어야 하는가?
- 지도자의 필요성(必要性)
(시오노 나나미의 ‘나의 친구 마키아벨리’ 를 읽은후...)
주변 사람에 꽤 많은 사람들이 군주론을 읽어보았다고 했지만, 그들에게 군주론의 내용을 물어보면, 수단을 가리지 않는.. 도덕과는 거리가 먼 군주를 이야기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런 것은 꼭 이 책이 아니여도 된다 군주론은 근대 정치사상을 열었다고 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만큼, 이 책을 읽는 목적으로 기원을 찾는 일을 이야기해도 될 것 같다.
지난해 대선부터 올해 4월 9일 총선이 바로 이어지면서 우리 국민들의 이야기 화제는 정치였다. 대중들은 과거처럼 대중매체의 보도에 수동적이지 않다. III. 결 론 (우리나라 정치적 상황과 마키아벨리즘) - 국민이 고르는 지도자 모습 (18대 대선 BBK사건, 김용철 변호사 떡값폭로에 비난) - 군주는 선인도 악인도 될 수 있어야 한다.
- 정치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
2. 마키아벨리가 말하는 정치적 지도자상
3. ‘마키아벨리즘’은 악의 생각이 아니다.
- 군주론의 군주의 모습은 사회의 필요악이다.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을 읽은후...)
- 국민이 고르는 지도자 모습
1. 마키아벨리의 삶과 배경
- 군주는 선인도 악인도 될 수 있어야 한다.
순서
이 책을 과제(problem)로 받고 처음으로 군주론을 읽었을 때는 사실 머릿속이 요점 되지 않았다. 심지어 어린 학생들도 주변 어른들의 影響(영향) 때문 이였는지 정치적인 이야기를 나눌 정도였다. 이번 기회에 정치의 존재에 이어 군주, 통치자의 존재와 그 모습에 대한 생각을 하도록 해 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리고 싶다. 그리고 교수님께서 도덕에서 벗어난 정치술을 익히는 것에 그치라고 이 책을 권하셨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물론 맞는 이야기이지만 나의 생각은 달랐다. - 군주론의 군주의 모습은 사회의 필요악이다. 그래서 시오노 나나미의 ‘나의 친구 마키아벨리’를 읽었고, 4월 12일 토요일 신문에서 introduce받은 ‘체사레 보르자’ 책을 읽고나서 , 다시 군주론을 읽고나서 나서야 생각이 요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