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학기 인간관계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02:58
본문
Download : 20172_핵심요약노트_청소년4_인간관계론.pdf
ㆍ 경시형 - 인간관계를 중시하지 않음. 오히려 고독을 즐김.
설명
제10장 커뮤니케이션
제18장 인간관계 개선의 원리
순서
인간관계론,인간관계론핵심,방통대인간관계론,방송대인간관계론
㉡ 사회에서 인정하는 culture적 목표(goal)와 제도적 수단에 따르지 않는 행동방식 - 머튼(R.K.Merton)은 culture적 목표(goal)와 제도적 수단에 따라 인간의 부適應(적응) 유형을 다음과 같이 구분
제8장 대인신념과 인간관계
ㆍ 의례주의형 - culture적 목표(goal)를 거부하지만 제도적 수단에는 집착하는 유형
방송통신 > 핵심요약노트
제2장 인간관계의 형성과 해체4
제16장 직장 내 인간관계
제2부 인간관계에서의 심리적 요인
ㆍ 패배주의형 - culture적 목표(goal)와 수단을 모두 거부하는 유형(예 : 약물 중독자, 방랑자, 운둔자, 정신질환자 등)
제9장 자기개방
2) 부適應(적응)적인 인간관계의 유형
- 중략 -
제6장 대인지각과 인간관계
1) 부適應(적응)의 문제
ㆍ 동조형 - culture적 목표(goal)와 제도적 수단을 모두 수용하는 適應(적응)방식(→부適應(적응)에서 제외)





제7장 대인매력과 인간관계
㉠ 사회culture적 규범으로부터의 일탈
ㆍ 반역형 - culture적 목표(goal)와 수단을 모두 거부하지만 패배주의형과는 달리 기존의 것을 새로운 것으로 대치하려는 유형(예 : 여성해방운동가, 급진적 사회운동가, 히피 등)
제17장 건강한 인간관계
제5부 인간관계의 개선
제14장 이성관계
제1부 삶과 인간관계
㉠ 인간관계 회피형(고립형) - 인간관계를 회피하고 고립된 생활을 하며, 인간관계의 폭이 극히 제한. 심리적 이유에 따라 경시형과 불안형으로 구분.
제5장 대인동기와 인간관계
제19장 인간관계 개선의 방법
제3장 인간관계에서의 문제
ㆍ 불안형 - 불안과 두려움으로 인간관계를 피하나, 인간관계를 무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경시형과는 다름.
2017년 2학기 인간관계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제3장 인간관계에서의 문제
제15장 가족관계
제12장 공격행동과 도움행동
(1) 부適應(적응)의 문제
Download : 20172_핵심요약노트_청소년4_인간관계론.pdf( 22 )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해설포함*
제1부 삶과 인간관계 제1장 삶에서의 인간관계 제2장 인간관계의 형성과 해체4 제3장 인간관계에서의 문제 제4장 인간관계론의 출현과 발전 제2부 인간관계에서의 심리적 요인 제5장 대인동기와 인간관계 제6장 대인지각과 인간관계 제7장 대인매력과 인간관계 제8장 대인신념과 인간관계 제3부 인간관계에서의 집단과정 제9장 자기개방 제10장 커뮤니케이션 제11장 갈등 제12장 공격행동과 도움행동 제4부 인간관계의 장 제13장 친구관계 제14장 이성관계 제15장 가족관계 제16장 직장 내 인간관계 제5부 인간관계의 개선 제17장 건강한 인간관계 제18장 인간관계 개선의 원리 제19장 인간관계 개선의 방법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해설포함*
ㆍ 혁신형 - culture적 목표(goal)는 수용하지만 제도적 수단은 포기하는 유형(예 : 사기, 횡령, 강도를 저지르는 사람들)
제1장 삶에서의 인간관계
제11장 갈등
제3부 인간관계에서의 집단과정
제13장 친구관계
제4부 인간관계의 장
제4장 인간관계론의 출현과 발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