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w] 위캔두댓을 보고나서-We can do that 5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09 18:10
본문
Download : 위캔두댓을 보고나서-We can do that 5 .hwp
정신질환 장애인이라는 극단적인 인물설정에는 사회적 강자가 아닌…(省略)
Download : 위캔두댓을 보고나서-We can do that 5 .hwp( 51 )
설명
다.위캔두댓을 보고나서-We can do that 5
위캔두댓,We,can,do,that,의약보건,레포트
순서
위캔두댓을 보고나서-We can do that 5 , 위캔두댓을 보고나서-We can do that 5 의약보건레포트 , 위캔두댓 We can do that
레포트/의약보건
위캔두댓을 보고나서-We can do that 5





세상을 향해 외치는 가장 감동적인 합창
We can do that!
We can do that, 2008 (Si, Puo Fare)
협동조합 책을 몇 권 읽는 것보다 훨씬 효과(效果)적인 영화
내가 알고 있는 협동조합의 관념을 누군가에게 설명(explanation)할 때 어떤 방식으로 표현할 것인가라고 생각을 해본적이 있습니다.
‘정신질환자들이라면 병원에 수용되어야하는데 왜 이렇게 방치되어 협동조합을 만들어 무기력한 노동을 하고 있을까’
이 영화의 배경인 1980년대 이탈리아는 다양한 형태의 협동조합이 활발하게 운영이 되었습니다. 정신과의사 프랑코 바자리아가 만든 ‘바자리아법’(1978년 발효)에 의해 정신적 장애를 가진 환자가 사회참여를 통해 마음을 개방하고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범죄자 병원을 제외한 모든 정신병원이 점진적으로 폐쇄되는 시기였던 것이지요.
이는 협동조합의 기본적인 정신인 공동체의식에서 함께 하는 것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었다.
영화는 1980년대 이탈리아를 배경을 처음 을 하는데 혁신적인 활동가 넬로는 소속된 조합에서 쫓겨나다시피 해서 발령받은 곳은 정신병동에 갇혀있었던 이들이 만든 ‘안티카 협동조합180’ 이었습니다.
강제수용의 방법으로 환자를 일반인과 격리하는 것이 치료의 효과(效果)적인 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보게 되면서 조금 놀라게 되었습니다.
긍정에너지 넬로는 이런 정신질환 장애인을 장애인으로 바라보지 않고 일반인과 같은 노동의 가치를 실현시켜주기 위해 주어진 일이 아닌 원하는 일을 찾기 위해 조합원 회의를 열게 됩니다.
가치, 이념, 역할 등 여러 가지 협동조합에 대해 설명(explanation)할 수 있겠지만 영화 한편을 통해 재미있게 보여준다면 훨씬 더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우편봉투에 우표조차 제대로 붙이지 못하는 조합원들. 완치가 되지 못한 이들을 관리 감독하는 이사장이자 담당의사 델 벨키오. 이 모습에서 몇 가지 의문이 들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