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사뇌가)의 concept(개념)과 성격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0 01:10
본문
Download : 향가(사뇌가)의 개념과 성격 고찰.hwp
제망매가는 ‘彌陁刹’이라는 단어가 등장함으로 내세관을 가지고 쓰여졌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주술적, 초자연적 性格을 띠었다고 볼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내세관이 모든 鄕歌에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鄕歌의 性格을 두고 감동적인 性格을 띠었다고 보는 편이 옳다. 이 원고에서는 三國遺事와 均如傳에 鄕歌와 詞腦歌에 대해 언급된 다섯 用語를 근거로 鄕歌와 詞腦歌의 개념(槪念)에 대해 최소한의 규정을 짓고, 이를 통해 鄕歌의 性格을 밝힌 뒤 現傳 鄕歌 26수에 적용하도록 하겠다.
1. 鄕歌가 언급된 用語
향가(사뇌가)의 concept(개념)과 성격 고찰
향가(사뇌가)의 concept(개념)과 성격 고찰
다. 따라서 鄕歌의 槪念과 性格을 파악하는데 ‘三國遺事’와 ‘均如傳’에 鄕歌에 관해 언급된 소수의 문장으로부터 도움을 받는 수밖에 없다.
.
Download : 향가(사뇌가)의 개념과 성격 고찰.hwp( 47 )
I. ‘三國遺事’와 ‘均如傳’에 언급된 用語들의 槪念 정리(arrangement)
羅人尙鄕歌者尙矣 蓋詩訟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 三國遺事
향가(사뇌가)의 개념과 성격 고찰
향가(사뇌가)의 개념과 성격 고찰 향가(사뇌가)의 개념과 성격 고찰 향가(사뇌가)의 개념과 성격 고찰 향가(사뇌가)의 개념과 성격 고찰
향가(사뇌가)의 concept(개념)과 성격 고찰
.
향가(사뇌가)의 개념(槪念)과 성격 고찰
첫째, 鄕歌는 羅人(신라인)이 불렀다. 이는 鄕歌가 한자를 借用하여 만들어 쓴 鄕札로 기록되었기 때문이기도 하거니와, 現傳하는 鄕歌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향가(사뇌가)의 concept(개념)과 성격 고찰
이 문장은 三國遺事의 月明師 兜率歌 부분에 언급된 문장이다. 그러나 鄕歌는 감동을 목적으로 쓰여진 것만은 아닐것이다.설명
월명사가 지은 제망매가의 경우 죽은 아우를 생각하며 지은 노래로 이별의 슬픔을 주제로 하고 있다.
순서
그런데 여기서 문제되는 것은 能感動天地鬼神 부분이다. ‘신라인들은 일찍부터 鄕歌를 숭상했다. 鄕歌는 시송과 같은 것이다.
.
둘째, 鄕歌는 감동적인 性格을 띠고 있다. 그러므로 왕왕 천지 귀신을 능동케 한 일이 많았다. . 서동요의 경우는 선화공주의 비행을 풍자하는 내용으로 감동적인 부분을 찾아보기
%EC%9D%98%20%EA%B0%9C%EB%85%90%EA%B3%BC%20%EC%84%B1%EA%B2%A9%20%EA%B3%A0%EC%B0%B0-8227_01_.jpg)
%EC%9D%98%20%EA%B0%9C%EB%85%90%EA%B3%BC%20%EC%84%B1%EA%B2%A9%20%EA%B3%A0%EC%B0%B0-8227_02_.jpg)
%EC%9D%98%20%EA%B0%9C%EB%85%90%EA%B3%BC%20%EC%84%B1%EA%B2%A9%20%EA%B3%A0%EC%B0%B0-8227_03_.jpg)
%EC%9D%98%20%EA%B0%9C%EB%85%90%EA%B3%BC%20%EC%84%B1%EA%B2%A9%20%EA%B3%A0%EC%B0%B0-8227_04_.jpg)
%EC%9D%98%20%EA%B0%9C%EB%85%90%EA%B3%BC%20%EC%84%B1%EA%B2%A9%20%EA%B3%A0%EC%B0%B0-8227_05_.jpg)
둘째, 鄕歌는 시와 비슷한 性格을 띤다. 풀이하면 다음과 같다.
鄕歌는 오랜 시간동안 연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槪念과 性格을 규정짓는데 의견이 분분하다.’ 이 문장을 통하여 鄕歌의 性格을 파악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 문장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의미로 다시 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향가(사뇌가)의 concept(개념)과 성격 고찰
첫째, 鄕歌는 呪術性 혹은 超自然力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