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우리나라 민화의 analysis 및 대표적 작품들 / 우리나라 민화의 analysis 및 대표적 작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15 22:01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 민화의 분석 및 대표적 작품들.hwp
혁필화와 등화는 구체적인 유물이 보고되지 않고 있지만 유원지 등에서 그 유형의 그림은 볼 수 있다 판화로는 평양기성도의 병풍판화, 효제충신예의염치의 글씨, 虎狗巳鷄의 문배그림판화 까치와 호랑이 판화, 삼재판화, 해태 판화, 산도, 지도판화 등이 발견되고 있다 ● 격식 병풍 - 8폭이 가장 많고 다음이 10폭, 두폭 가리개, 6폭 두틀이 한 쌍이 되는 12폭 등이 있다 족자 - 구부러진 나무가지를 아래위로 대고 거친 끈으로 묶어 벽이나 천장, 문짝에 직접 붙였다. 부담없이 그려져서 사람들이 언제나 볼 수 없는 곳에 붙...
우리나라 민화의 analysis 및 대표적 작품들 1. 민화의 analysis (1) 형식 ●...
우리나라 민화의 분석 및 대표적 작품들 1. 민화의 분석 (1) 형식 ●...
레포트 우리나라 민화의 분석 및 대표적 작품들 / 우리나라 민화의 분석 및 대표적 작





순서
다. 여기서 병풍이나 족자는 그 격식에서 약간 차이가 날망정 원화와 다름없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역시 민화의 성격을 잘 보여주는 것은 낱장그림일 것이다.
[리포트] 우리나라 민화의 analysis 및 대표적 작품들 / 우리나라 민화의 analysis 및 대표적 작
Download : 우리나라 민화의 분석 및 대표적 작품들.hwp( 37 )
설명
레포트 > 기타
우리나라 민화의 분석 및 대표적 작품들 . 민화의 분석 (1) 형식 ● 재료 바탕으로는 장지가 으뜸이며 창호지, China 화선지, 양지, 모조지 등의 종이와 삼베, 모시, 양사, 비단, 광목 등의 천이나 나무판자 등에 가림 없이 그림을 그렸고 바탕의 색으로는 붉은 색, 검정색, 청색, 남색, 녹색, 황색 등을 사용하고 그 위에 은물감, 금물감으로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낱장그림 - 조자용이 부동화라고 부르는 그림. 벽 대문 기둥 다락문 장문 두껍닫이 장롱 등에 풀로 붙였다. 그러니까 이 형식에서 본다면 주로 장지에 그려져서 펼치는 병풍이나 벽에 거는 족자의 형태로 보여지기도 했지만 낱장그림은 바로 풀을 발라 붙이기도 했다. 안료는 먹을 중심으로 당채를 으뜸으로 치는데 아교에 타서 쓰는 광물성, 수성안료, 식물성 물감 등 다양하며 유화물감이나 페인트로 그린 그림까지 보고되고 있다 ● 종류 부채그림 인두그림 혁필화 등화 등이 보고되어 있다 부채그림은 단오선과 백선도, 인두그림은 대나무 껍질이나 통대나무에 그린 낙화선각 등이 있고 장지에 그린 그림도 간혹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