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讀書感想文] [讀書感想文]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4 05:00
본문
Download : [독후감]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한다.hwp
이 이야기는 겅호에 제시된 기러기의 정신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천해야 하는지를 보여준다.
대기업의 중역인 웨스 킹슬리가 어느 날 범고래 쇼를 보고 어떻게 바다의 포식자인 범고래가 조련사의 지시에 따라 이리 뛰고 저리 뛸 수 있을까에 대해 궁금증을 갖게 되었고 담당 조련사로부터 고래의 긍정적 행동에 주목한다, 즉 잘했을 때는 과도하게 칭찬을 해줌으로써 고래로부터 칭찬 받을 수 있는 행위를 반복할 수 있도록 하고 부정적 행동은 외면한다, 즉 못했을 때는 그 행동에 주목하지 말고 재빨리 다른 행동으로 전환할 수 있게끔 유도한다는 내용의 얘기를 듣는다. 우린 쌍둥이들이 아기였을 때는 그 아이들이 웃고 있거나 잘 놀고 있을 때만 함께 놀아줬죠. 아기들이 울 때는 기저귀가 젖은 건 아닌지 배가 고픈 건 아니지만 확인하고 크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습니다.
3. 중간 중간에 계속해서 격려하는 것이 핵심이다.
순서
1. 범고래가 쇼를 멋지게 해냈을 때는 즉각적으로 칭찬하고
2. 실수를 했을 때는 질책하는 대신에 관심을 다른 방향으로 유도하며
[讀書感想文] [讀書感想文]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한다
![[독후감]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한다-2750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801/%5B%EB%8F%85%ED%9B%84%EA%B0%90%5D%20%EC%B9%AD%EC%B0%AC%EC%9D%80%20%EA%B3%A0%EB%9E%98%EB%8F%84%20%EC%B6%A4%EC%B6%94%EA%B2%8C%ED%95%9C%EB%8B%A4-2750_01_.gif)
![[독후감]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한다-2750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801/%5B%EB%8F%85%ED%9B%84%EA%B0%90%5D%20%EC%B9%AD%EC%B0%AC%EC%9D%80%20%EA%B3%A0%EB%9E%98%EB%8F%84%20%EC%B6%A4%EC%B6%94%EA%B2%8C%ED%95%9C%EB%8B%A4-2750_02_.gif)
![[독후감]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한다-2750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801/%5B%EB%8F%85%ED%9B%84%EA%B0%90%5D%20%EC%B9%AD%EC%B0%AC%EC%9D%80%20%EA%B3%A0%EB%9E%98%EB%8F%84%20%EC%B6%A4%EC%B6%94%EA%B2%8C%ED%95%9C%EB%8B%A4-2750_03_.gif)
![[독후감]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한다-2750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801/%5B%EB%8F%85%ED%9B%84%EA%B0%90%5D%20%EC%B9%AD%EC%B0%AC%EC%9D%80%20%EA%B3%A0%EB%9E%98%EB%8F%84%20%EC%B6%A4%EC%B6%94%EA%B2%8C%ED%95%9C%EB%8B%A4-2750_04_.gif)
고래 반응(Whale Done response)이라 불리는 범고래 훈련법은 성공적인 인간관계를 위한 훈련법과 다르지 않다. 고래 반응 이란
아기일 경우에는 울지 않을 때, 어린 아이들일 경우에는 예의 바르게 행동할 때죠. 10대일 경우에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때고요. 그래서 아내와 저는 부모로서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고 보다 혁신적인 행동을 하기로 했습니다. 저에게는 쌍둥이 아이들이 있어요. 뱃과 레이드라고 하죠.저는 그 쌍둥이가 태어나기 전에 이미 수년 동안 고래들과 함께 했죠. 그래서 아이들이 태어났을 때 제 아내인 헬런과 함께 `고래 반응`을 적용해 보기로 했습니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한다, 켄 블랜차드, 타드 라시나크, 처크 톰킨스, 짐 발라드 지음, 조천제 옮김./ 21세기북스(219p). 2002년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한다 독후감입니다. 잘못된 일이 생기는 것을 기다리는 대신 잘하고 있을 때 주의를 기울여준 것이죠. 아이들이 더 자랐을 때,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것과 아이들이 바라는 것을 조화시키기 위해 좀더 적극적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