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행동과 사회environment(환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07 10:33
본문
Download : 인간행동과사.hwp
예컨대, 파슨즈(T. Parsons)와 같은 거시적 기능주의자들은 거시체계인 사회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인간의 행동은 전체 사회의 goal(목표) 나 욕구에 의해 變化(변화)되는 하나의 단위라고 봄으로써 인간행동의 文化결정론을 주장한다. 사회학자나 文化인류학자들은 인간은 출생과 동시에 가족이라는 집단에서 성장하며 학교 조직체계에서 교육받고 사회라는 조직체계속에서 일하며 살아가며, 그리고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文化 속에서 언어를 습득하고 행동양식과 가치를 내면화한다고 본다.
개인행동을 이해하려는 접근으로는 성격理論(이론)이 대표적으로 “인간은 왜 그렇게 행동하는가”에 대해 다양한 理論(이론)을 전개한다.
설명
그러나 사회학습理論(이론)을 강조한 반두라(A. Bandura)와 같은 성격理論(이론)가들은 유전적 요인과 環境적 요인 그리고 그 사람의 행동 자체가 상호 작용되어 행동이 이루어지며 세 요소 중 어느 것을 도외시하고서는 인간행동의 결정요인을 설명(說明)할 수 없다는 상호결정론의 입장을 취한다.인간행동 성격이론 사회환경 / ·김영모, 홍금자, 김진이(200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고헌출판부. ㆍ남세진(1992), 󰡔인간과 복지󰡕, 한울아카데미. ·이인정, 최해경(199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출판. ㆍ장인협 외 4인(199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집문당. ·장휘숙(1998), 󰡔발달정신병리학의 이해󰡕, 학지사. ·최순남(200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한신대출판부. ·최옥채외 3인(200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Zastrow, C & Kirst-Ashman, Karen K., 김규수외 6인 역(200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눔의집. ·Elliot, Faith R., 안병철, 서동인 공역(1995), 󰡔가족사회학󰡕, 을유문화사. ㆍSalkind, Neil J., 정옥분 역(1992), 󰡔인간발달의 이론󰡕, 교육과학사.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인간행동 성격이론(理論) 사회environment(환경) / ·김영모, 홍금자, 김진이(2000), 󰡔인간행동과 사회environment(환경) 󰡕, 고헌출판부.
마. 로저스의 인본주의 현상학적 理論(이론)
2. 성격理論(이론)
다. 그러나 이러한 체계들 중에 어디에 초점을 두느냐에 따라 학자들간에 입장이 달라진다.
가. Freud의 정신analysis적 성격理論(이론)
인간행동과 사회environment(환경)
·최옥채외 3인(2002), 󰡔인간행동과 사회environment(환경) 󰡕, 양서원.
다. 그러나 반대로 웨버(M. Weber), 미드(J. H. Mead), 그리고 블루머(H. Blummer)와 같은 사회적 행동주의자와 사회적 상징주의자들은 사회는 최소단위인 개인행동에서 출발한다고 하고, 사회는 개인행동들로 구성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즉 인간은 사회화 과정에서 文化의 effect을 크게 받지만 무조건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고 자율성을 가지고 선별적으로 받아들인다는 입장이다. 프로이드(S. Freud)를 중심으로 한 정신analysis학적 성격理論(이론)가들은 인간행동이 유전적 기질, 특성, 또는 다른 내부의 심리적 힘에서 비롯된다고 보며, 스키너(B. F. Skinner)와 같은 행동주의 성격理論(이론)가들은 인간행동이 環境 속의 강화인자에 의해 비롯되고 變化(변화)한다고 말한다.
·장휘숙(1998), 󰡔발달정신병리학의 이해󰡕, 학지사.
·이인정, 최해경(1995), 󰡔인간행동과 사회environment(환경) 󰡕, 나남출판.
가. 사회체계理論(이론)의 주요 관념
1. 인간행동의 통합적 모색
다. 또 이 두 입장과는 달리 인본주의 성격 理論(이론)가들은 인간의 자유 선택을 강조하여 사람은 자기가 하려고 마음먹은 것을 할 수 있다고 한다. 그리하여 전통적으로 인간의 행동은 유전적 기질, 環境의 변인 그리고 인간이 소유하고 있는 자율성의 함수에 의한다고 본다. 기타 정신역동理論(이론)
3. 사회체계로서의 사회環境
나. 인간의 발달단계
가. 인간발달과 사회사업
󰡔인간행동과 사회environment(환경) 󰡕, 나눔의집.
우선 두 입장의 관계를 각각 이해하고 통합적 방법을 살펴보자.
나.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성격理論(이론)
·Elliot, Faith R., 안병철, 서동인 공역(1995), 󰡔가족사회학󰡕, 을유culture사.
순서
·최순남(2002), 󰡔인간행동과 사회environment(환경) 󰡕, 한신대출판부.
라. 인지理論(이론)

나. 사회環境으로서 가족체계
사회체계적 접근방법에서는 인간행동의 근거를 文化와 사회라는 사회체계 속에서 찾는다.
ㆍSalkind, Neil J., 정옥분 역(1992), 󰡔인간발달의 이론(理論)󰡕, 교육과학사. ()
·Zastrow, C & Kirst-Ashman, Karen K., 김규수외 6인 역(2002),
라. 사회環境으로서 文化와 사회 인간의 행동이란 그 행동이 행해지는 環境 속에서 구체적으로 하나가 된다 그러므로 우리가 인간행동을 이해하는 방법은 개인을 중심으로 한 미시적인 차원에 그치지 않고 개인을 둘러싼 環境적인 요소, 즉 사회·文化와의 관계에서 이해하는 거시적인 차원의 접근을 모색하게 된다 전자는 인간행동을 심리학적인 차원에서 이해하는 입장이고 후자는 사회학적인 입장에서 이해하는 입장으로, 이 두 가지 견해는 오래 전부터 각각 서로 다른 입장에서 많은 理論(이론)가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으나 근래에 인간과 함께 일하는 여러 분야- 사회사업, 교육, 간호, 가정관리 등-에서 통합적 접근이 모색되고 있다 인간의 부adaptation(적응) 을 규명하고 치료하는데 있어서도 정신analysis학적 차원의 관심 뿐 아니라, 사회 文化적인 環境의 effect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사회環境으로서의 지역사(歷史)회 체계
ㆍ장인협 외 4인(1990), 󰡔인간행동과 사회environment(환경) 󰡕, 집문당.
인간행동 성격이론 사회환경
Download : 인간행동과사.hwp( 51 )
ㆍ남세진(1992), 󰡔인간과 복지󰡕, 한울아카데미.
이와 같은 사회체계론자들의 양극적인 두 입장에 대해 케슬러(Koestler)는 홀론(holon)의 관념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사회체계는 개인, 가족, 집단, 조직, 지역사(歷史)회, 그리고 文化로 구성되며 모두 인간행동에 effect을 주는 기본체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