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풍습과 한국음식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02 20:05본문
Download : 한국의 풍습과 한국음식의 특징.hwp
음식에 대한 깊은 이해와 진리를 잊지말고, 한국음식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한국음식의특성과변천사 , 한국의 풍습과 한국음식의 특징생활전문레포트 ,
레포트/생활전문
설명
한국의 풍습과 한국음식의 특징
Download : 한국의 풍습과 한국음식의 특징.hwp( 73 )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라는 말이 있다 음식에 대한 깊은 이해와 진리를 잊지말고, 한국음식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한국음식의특성(特性)과변천사
다.
1) 반상(飯床)차림
반과 반찬을 주로 하여 격식을 갖추어 차리는 상차림으로 밥상, 진지상, 수랏상으로 구별하여 쓰는데 받는 사람의 신분에 따라 명칭이 달라진다. 또 한사람이 먹도록 차림 반상을 외상(독상), 두사람이 먹도록 차린 반상을 겸상이라 한다.
이중, 3첩 반상은 있는 대로 적당히 먹었던 상차림이었고, 5첩 반상은 어느 정도 여유가 있었던 서민층의 상차림이었다.
목 차
1. 서 론
2. 본 론
1. 한국의 절식과 시식풍속
(1) 설날
(2) 입춘절식
(3) 정월 대보름
(4) 중화절식
(5) 중산절식
(6) 춘절절식
(7) 등석절식
(8) 단오절식
(9) 유두절식
(10)삼복절식
(11)칠석절식
(12) 백 중
(13) 추석
(14) 중구절식
(15)10월상달
(16)시월절식
(17)동지절식
(18)납향절식
(19)대회일
2. 한국음식의 특징
3. 한국음식의 조리법상의 특징
4. 한국음식의 재료
5. 한국음식의 변천사
6. 한국음식의 양념과 고명
1. 양념
2. 고명
7. 한국음식의 상차림
3. 결 론
7. 한국 음식의 상차림
상차림도 주식과 부식을 분리하여 3첨에서 12첩에 이르는 상차림이 있고 서민의 상차림은 3첩, 5첩인데 비하여 반가(班家)에서는 7첩,9첩이고 왕의 수라상은 12첩이었다. 음식상에는 차려지는 상의 주식이 무엇이냐에 따라 밥과 반찬을 주로한 반상을 비롯하여 죽상, 면상, 다과상 등으로 나눌 수 있고, 떠 상차림의 목적에 따라 교자상, 돌상, 큰상, 젯상 등으로 나눌수 있는데 계절에 따라 그 구성이 다양하다.
점차 상차림이 생활화됨에 따라 의례음식과 명절음식이 정립되었으며 사계절에 따른 시식,절식음식도 다양하게 되었다. 한국 일상 음식의 상차림은 전통적으로 독상이 기본이다.
따라서 음식도 궁중음식,반가음식,상민음식으로 나뉘었고 지역의 特性(특성)에 다른 향토음식도 생겨나게 되었다. 즉, 아랫사람에게는 밥상, 어른에게는 진지상, 임금에게는 수랏상이라 불렀다. 그리고 외상으로 차려진 반상에는 3첩, 5첩, 7첩, 9첩, 12첩이 있는데 여기에서의 첩이란 밥, 국 김치, 조치, 종지(간장, 고추장, 초고추장 따위)를 제외한 쟁첩(접시)에 담는 반찬의 수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식사법은 준비된 음식을 한꺼번에 모두 차려 놓고 먹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식사 예절에서는 상차리기가 매우 중요시되고 그만큼 형식도 까다롭다. 상차림 이란 한상에 차려놓은 찬품의 이름과 수효를 말한다. 7첩 반상은 여염집에서 신랑, 색시상을 차릴 때이고 9첩 반상은 반가집에서의 최고 상차림이었고 12첩 반상은 궁중에서 차리는 수랏상차림이었는데, 수랏상은 반드시 12첩 반상이 아…(생략(省略))
순서
,생활전문,레포트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라는 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