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 호주 와인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31 06:07
본문
Download : 호주 와인의 특징.hwp
겨울은 한대기후를 보이는 우리와 달리 지중해성 기후는 온화하며 비도 적당히 내려 겨울동안 밀 등을 길러 봄에 수확하는 농업이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우수한 와인 생산지역과 달리 강과 구릉지대가 없는 지형. 자연적으로 배수가 잘되는 비옥한 테라로사 토양, 비교적 춥고 선선한 기후의 조화는 차별화되는 포도생산 조건을 만들어낸다.
Download : 호주 와인의 특징.hwp( 50 )
설명
호주는 신흥 와인 생산국으로 프랑스, 이탈리아처럼 포도가 잘 자라는 지중해성 기후를 가지고 있따 지중해성 기후는 다소 특이한 기후에 속한다. 때문에 호주에서의 와인 빈티지(Vintage)는 단지 수확 연도의 표시일 뿐 그 이상의 의미는 없다. 특히 유럽에서 온 전후 이민자들이 드라이한 테이블 와인의 맛을 전파시킴으로써 1970년대 이후 호주도 물질적 풍요가 더해지면서 호주와인산업은 기존의 틀을 탈피해 성장과 變化가 이루어져 양질의 드라이 레드 와인의 시대로 접어들게 된다 여기에 물질적인 풍요가 더해지면서 지속적인 기술혁신, 생산설비 향상 그리고 기업합병 등을 통해 양질의 와인이 대량생산되기 처음 했으며, 1980년대에는 세계 수출시장에도 본격적으로 진입하였다.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긴 하지만 대체로 여름은 덥고 겨울은 상당히 온화하다고 할 수 있따 유럽처럼 기후가 변덕스럽지 않고, 매년 일정하기 때문에 포도의 작황에 effect(영향) 을 주지 않는 좋은 조건의 기후이다.
◆ 호주 와인의 역사 1p ◆ 호주의 기후와 토양 2p ◆ 호주의 포도 품종 2p~4p ◆ 호주의 주요 와인 생산 지역 4p~5p ◆ 호주의 와인 등급 분류 및 규정 6p ◆ 호주 와인 레이블 읽기 7p ◆ 호주 대표 와인들 7p ◆ 출처 7p
호주 와인 부문을 독립시키는데 있어 effect(영향) 을 끼친 인물인 ‘호주 포도재배의 아버지’로 불리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제임스 버스비(James Busby)이다.

◆ 호주 대표 와인들 7p
쿠나와라(Coonawarra)는 호주의 최상급 레드 와인 생산지이자 떼루아의 effect(영향) 이 지대한 몇 안되는 지역이다. 독일을 필두로 이탈리아, 영국, 스위스 등 유럽의 이민자들이 그 뒤를 이어 호주 와인산업을 발전시켰다.
180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생산된 대부분의 호주 와인들은 가정에서 마시거나 영국에 수출하기 위해 만든 포트(Port)와 같은 알콜강화와인이 주류를 이루었다. 드라이 테이블 와인의 생산량이 1960년대에 불과 100만 상자 수준이던 것이 1990년대에는 무려 8,500만 상자에 이르렀으니, 호주와인산업이 얼마나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는지 짐작할 수 있따 2000년대에 들어서는 지방색을 강조하고 이전보다 토양에 신경을 쓰는 양조자들이 많아졌으며, 질이 높은 스파클링 와인 개방에도 성공을 거두고 있따
레포트 > 기타
맥라렌 베일(Mclaren Vale) 지역은 온화한 해양성 기후와 가벼운 모래흙, 찰흙, 석회석, 철광석이 함유된 토양으로 포도재배에 이상적이다.
◆호주의 기후와 토양
[와인] 호주 와인의 특징
◆ 호주의 주요 와인 생산 지역 4p~5p
호주, 와인, 특징
◆ 호주의 기후와 토양 2p
호주는 겨울에는 10℃, 여름에는 30℃ 정도로 기후가 덥고 연중 강우량이 600mm 내외로 건조하다. 사람들은 그들의 건강과 즐거움을 위해 적정 알콜이 함유되어 있는 와인의 이로움에 친숙해 있따 호주의 소비자들에게 고품질의 와인을 선호하는 경향은 더욱 뚜렷해지고 있으며, 수출에 있어서도 이윤 폭이 높은 상급와인이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따
토질 역시 지역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체로 석회암, 모래, 양토, 점토 등의 토질이고 심층토는 석회암 등으로 포도재배에 적합하다. 버스비(Busby)는 1824년 호주로 이주하기 전 프랑스의 보르도 근처에 살며 포도재배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농업학교를 운영하고 있었다.
빅토리아(Victoria)의 기후와 토양은 유럽과 비슷하여 호주에서 2번째로 많은 약 120여개의 포도원이 자리잡고 있따
순서
오늘날 와인을 마시는 것은 호주인들의 생활의 일부이며 큰 즐거움이다. 뉴사우즈웨일즈주의 헌터 밸리(Hunter Valley) 지역 주민들에게 포도 재배와 와인양조방법을 전파하면서 본격적인 호주 와인의 역싸가 처음 되었다. ◆ 출처 7p
와인 포도의 재배는 유럽 정착인의 호주 도착 이후 바로 처음 되었는데, 1788년 시드니 코브(Sydney Cove)에 도착한 아서 필립 선장(Captain Arthur Phillip)이 첫 선적의 화물사이에 가지고 온 포도덩굴이 그 시초였다.
◆호주 와인의 역싸
세계적인 와인 전문가 휴 존슨(Hugh Johnson)은 호주를 ‘남반구의 프랑스’라 칭하며, 자연적인 조건에 있어 그 무한한 가능성을 높이 평가했다. 지중해성 기후란, 여름에는 고온건조하되 겨울에는 온화하고 비도 많이 오는 특징을 보이는 기후를 말한다. 우리나라와 비교해 볼 때, 여름 기온은 높으나 우리처럼 집중호우와 같은 강수현상이 거의 없고 오히려 매우 건조한 기후를 보인다. 1960년대에 와서야 와인 산업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본격적으로 처음 되었다. 이후 전원 시인이자 목축업자인 존 마카서가 파라마카 지역의 비옥한 토질을 발견했으며, 여기서부터 헌터밸리까지 포도원이 확장되었고, 또 신앙의 자유를 찾아서 온 루터 교회의 교인들이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주에 정착하여 교회와 마을을 건설하고 독일의 포도품종을 심었다. 선장은 시드니의 보스타닉 가든에 처음 포도를 심었으나 토질이 맞지 않아서 번성하지 못했다. 덥고 일조량이 풍부한 호주에서는 북반구의 나라들과 달리 선선한 골짜기나 고도가 높은 곳을 선택해 포도를 재배하고 있따
헌터밸리(Hunter valley)의 기후는 무덥지만 여름과 겨울의 강우량이 비슷하며 토양은 현무암 점토로 이루어져 있어 이 곳에서 생산된 와인은 뚜렷한 향을 지니고 있따
이제 호주는 세계 6위의 와인 생산국으로, 수출량으로는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에 이어 세계 4위이다.
◆ 호주 와인의 역사(歷史) 1p
◆ 호주의 포도 품종 2p~4p
◆ 호주의 와인 등급 분류 및 규정 6p
◆ 호주 와인 레이블 읽기 7p
다. 호주 와인의 가장 큰 수출 시장은 영국인데, 2003년 영국 시장에서 프랑스 와인을 따돌리며 25%의 점유율을 기록했으며, 미국 시장에서도 이탈리아 와인에 이어 당당히 2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따 호주의 와인은 세계 판매 1위의 브랜드이며, 은 미국판매 1위이다.
호주는 1850년대 이후, 골드러시가 빅토리아의 젊은 인구를 3배로 증가시켜 식사와 함께 와인을 즐기기를 좋아하고 재력있는 중산층이 형성되었을 때, 진지하게 와인을 만들고 수출하기 처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