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 에세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04 20:00
본문
Download : 순자 에세이.hwp
올바른 비판과 다양한 견해들이 그 사상을 더욱 요동치고 물결 치게 하는 것이다. 순자의 철학을 옹호하며 글을 끝맺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사상이라는 것이 그 당시 조류나 흐름에 맞지 않는 것이라고 해서 무조건 그 사상을 배척한다면 그것은 오히려 그 사상의 경직화와 교조화를 가져 온다.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순자 에세이






순자에세이
Ⅰ. 서 론
1. 하늘과 인간의 단절
2. 순자의 생애와 저술, 그 당시 사회
Ⅱ. 본 론
1. 인간의 근본적 property(특성)
2. 순자의 禮治와 사회 계약설
3. 순자의 禮論
4.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과 ‘禮’에 기초한 이상사회
Ⅲ. 결 론
<전략(戰略) >........
우리는 순자의 사상을 이단으로 치부하여 왔다. 사람의 본성을 악하다고 했지만, 그 악한 본성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인간 자신의 의지적인 노력을 들었다. 또한 그는 인본주의적 사상을 강조했는데 그는 인간의 주체적 능동성을 강조했다. 이런 인간의 본능을 잘 다스리고 교화 시켜야 한다는 것이 바로 예론 이다. 서양의 홉스, 루소, 로크, 마키아 벨리 등은 인간은 자연상태에서는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상태이므로 서로 계약을 맺어 사람의 자유와 생명, 안전을 추구하는 국가나 사회,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창했다. 즉 인간이 가진 ‘본능’을 언급한 것이다. 이는 순자가 말한 인간의 본성은 악이며 이를 禮에 의해 교화 시켜야 한다고 주장한 것과 매우 상통한다.순자에세이 , 순자 에세이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순자 에세이.hwp( 37 )
다. 이런 점에서 순자의 사상은 과히 혁신적이고 개혁적이며 현대적이기까지 하다고 말하고 싶다.
그의 사상의 의의는 여러 가지 가 있따 본 필자는 그의 여러 사상적 의의 중에서 서양의 사회 계약설과 관련된 측면을 살표 보았다.
인간의 본성에 대해 순자가 말한 것은 인간의 본성이 惡하다는 것은 사실적 의미의 성을 말한다.
또한 그는 유교 사상의 과학적 사고, 합리주의를 제시했는데 이는 천론에서 알 수 있따 그는 미신, 초자연적인 것에 대한 믿음, 기우제…(省略)
순자의 생애와 저술 그가 활동하던 사회,순자의 철학에 등에 대한 글입니다. 이런 순자의 사상은 당시 혼란한 사회적 배경에 의해서 성립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러한 노력의 구체적인 제도로 예제의 부활을 주장하였던 것이다. 이는 당시 유교에서는 상상할 수 없던 것이며 당시 유교의 획일적 사상에서 탄생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크다.
순자의 생애와 저술 그가 활동하던 사회,순자의 철학에 등에 대한 글입니다. 순자의 철학을 옹호하며 글을 끝맺음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한 복고가 아니라 현실의 임금들이 당시에 맞는 예의 제도를 만들어서 피치자 모두를 교화시켜 가기를 바랐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