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암 이현일의 예학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21 00:40
본문
Download : 갈암 이현일의 예학사상.hwp
바로 천리가 구체적⋅형식적으로 드러나는 원리로서 볼 수 있으며, 모든 인간 행위의 준칙이 되는 것이다. 그러한 예의 근본은 역시 이기설에서 말하는 것처럼 형이상의 근거로 주어진 행위의 준칙을 뜻한다. 바로 천리의 절문인 예의삼백⋅위의삼천 또는 경례삼백 곡례삼…(skip)
순서






갈암 이현일의 예학사상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갈암 이현일의 예학사상.hwp( 33 )
[숨은說明(설명) :끝]
다.
[숨은說明(설명) :처음 ]
레포트/인문사회
[숨은설명:시작][숨은설명:끝]
[숨은설명(explanation):스타트]
[숨은설명(explanation):끝]
2. 삼통
[숨은설명(explanation):스타트]
[숨은설명(explanation):끝]
예학에서 말하는 예는 천리의 절문이요, 인사의 의칙이다. 즉 천리는 인간의 마음에 내재한 것이며 동시에 인간사의 규범적인 법칙으로 볼 수 있따 그런 의미에서 인간의 심성론적 탐구도 이 규범적인 예를 실천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따 뿐만 아니라 예학은 이학에서 말하는 존천리를 통해 천리의 절문을 밝혀 사회적으로 실천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따 왜냐하면 성인이 인정에 기인하여 예를 제정한 것이 천리의 정에 근본을 두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특히 조선조 예학에 있어서는 예가 절대시되는 경향과 더불어 예의 실천을 통한 천인합일의 경지를 도모했다고 볼 수 있따 그것은 이가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고, 또한 객관적인 규범으로서 천리의 절문이 주어질 때 그것의 일치가 나타날 수 있으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