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 학습 理論과 수업모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13 21:47
본문
Download : 교수 - 학습 이론과 수업모형.hwp
콜과 찬(Cole & Chan, 1987)은 이미 교실현장에서 사용되고는 있으나 교사들조차도 잘 의식하지 못하고 사용하고 있는 모형들을 체계화하였다. 나달과 스누크(Nuthall & Snook)는 수업모형을 행동통제모형, 발견학습모형, 합리적 모형으로 구분하였고, 로젠샤인(Rosenshine)은 수업모형을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1. 수업strategy 모형
수업strategy모형은 수업의 운영원리를 중심으로 체계화해 높은 수업모형으로 이 모형에는 헤르바르트의 5단계 교수설, 즉 예비-제시-비교-총괄-응용과 글레이…(생략(省略))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설명
교수학습理論과수업모형97






그럼 자료(資料)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순서
레포트/사범교육
교수 - 학습 理論과 수업모형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그럼 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교수학습이론과수업모형97 , 교수 - 학습 이론과 수업모형사범교육레포트 ,
Download : 교수 - 학습 이론과 수업모형.hwp( 50 )
다. 김호권은 수업모형의 유형분류에 앞서 학교수업의 관점을 크게 수업운영 원리적 측면, 학습조건의 측면, 교사행동의 측면으로 나누고 각 관점에 대한 수업모형을 수업strategy모형, 학습조건모형, 교사행동모형으로 나누었다.
여기서는 김호권이 분류한 수업모형의 유형을 간단히 introduction한다. 그가 체계화 해놓은 수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형들은 인성특징모형, 행동주의 모형, 교과 방법모형, 수업기술모형, 역할모형, 수업원리모형으로 나누었다.
,사범교육,레포트
Ⅱ. 수업모형 개관
학자들마다 수업을 보는 관점이 다르며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수업모형이 제시되었지만 아직도 수업모형을 어떻게 분류할 것인지에 대하여는 합의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상의 관점을 종합해보면 수업의 구조에 따라 수업모형을 구분하는 관점, 학습의 조건에 따라 수업모형을 구분하는 관점, 수업의 운영에 따라 수업모형을 구분하는 관점이 있따 김호건이 분류한 교사행동모형은 수업의 구조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 수업모형이다. 제 1 유형에 속하는 수업모형은 행동分析(분석), 구체적, 구조적 모형이고, 제 2 유형에 속하는 수업모형은 탐구지향, 학습자 중심, 학습자 선택모형이다. 죠이스와 웨일(Joyce & Weil, 1972)은 수업상황에 따라 다른 절차가 필요하다는 생각 아래 수업모형을 크게 네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마다 몇 개의 수업모형을 introduction하고 있따 네 영역은 사회 상호작용 모형, 정보처리모형, 정이적 모형, 행동수정모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