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 공학 實驗 - 탄소강의 열처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08 04:14본문
Download : 신소재 공학 실험 - 탄소강의 열처리.hwp
하중을 P㎏, 피트의 대각선의 길이를 d㎜라 하면, 비커즈 경도 Hυ는
실험목표 - 탄소 함유량이 다른 두 금속을 열처리 과정을 거치고 3가지 방법(노냉, 공냉, 수냉)으로 냉각시킨 후, 냉각 과정을 통한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고 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피트가 아주 작으므로 시험면의 경도분포를 구하거나 조직의 작은 부분의 경도를 구할 때에도 사용되다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신소재 공학 實驗 - 탄소강의 열처리
② 로크웰 경도계(rockwell hardness tester)
① 노냉 : 강을 열처리한 후, 노 내에서 비교적 늦은 속도로 냉각 시키는 것
① 비커스 경도계 (Vickers hardness tester)
- SM20C의 탄소 함유량은 0.18~0.23wt%, SM45C의 탄소 함유량은 0.42~0.48wt% 이고, figure 1을 통해 열처리 온도를 예측해보면 SM20C는 약 860℃이상, SM45C는 약 790℃이상이다. 하중의 크기를 아주 작게 하면 제품의 면에서 직접 경도를 측정할 수가 있다 또 하중 1㎏ 이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험기를 특히 미소경도 시험기라고 한다. 피트가 닮은꼴이 되므로 하중의 크기에 관계없이 경도의 수치가 일정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2) 열처리 냉각방법
다.
③ 수냉 : 열처리한 탄소강을 노에서 빼내어 물에 집어넣어 냉각 시키는 것
Hυ = 1.854 P/d2 이 된다.
Download : 신소재 공학 실험 - 탄소강의 열처리.hwp( 88 )





(3) 경도계
공업재료 등의 경도를 나타내는 기준의 하나. 대면각 136˚인 피라미드형 다이아몬드 압자(자국)를 재료의 면에 살짝 대어 눌러 피트(pit)를 만들고, 하중을 제거한 후 남은 영구 피트의 표면적으로 하중을 나눈 값으로 나타낸다.
實驗목표(goal)
순서
설명
신소재 공학 실험,탄소강의 열처리
② 공냉 : 강을 고온에서 가열하여 오스테나이트화 시킨 후 공기 중에서 냉각 시키는 것
- 탄소 함유량이 다른 두 금속을 열처리 과정을 거치고 3가지 방법(노냉, 공냉, 수냉)으로 냉각시킨 후, 냉각 과정을 통한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고 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