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을 바라보는 두 시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2 01:37
본문
Download : 인간을 바라보는 두 시각.hwp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해 더 알아보기 전에 우선 인간의 본성에 관한 학설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먼저 알아보기로 하자.
첫 번째로, 성선설(性善說)은 맹자(孟子)가 처음 주장하였으며,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사단(四端)은 천성에서 발생하므로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것이다. 성에는 상·중·하의 삼품이 있고, 위에 속하는 사람은 선하기만 하고, 아래에 있는 사람은 악하기만 하다.
인간을 바라보는 두 시각
세 번째로, 성무선악설(性無善惡說)은 고자(告子)가 주장하였고, 성에는 선도 악도 없다고 하였다. 미국 크리스천사이언스모니터는 12일 “아기들도 ‘착한 사마리아인’들을 알아본다. <이하 기사 drop> 「성선설이 맞다? 생후1년내 아이들 實驗」구정은, 문화일보, 2007.12.13
인간을 바라보는 두 시각
인간을 바라보는 두 시각
인간을 바라보는 두 시각
마지막으로, 성삼품설은 인간 중에 본성이 선한 자도 있고, 악한 자도 있다는 것이다. 선한 것은 인위(人爲)다.”라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선은 타고나면서부터 가지고 나오는 것이 아니라 인위적인 결과인 것이다. 그는 “인간의 본성이 선과 불선(不善)으로 나뉘어 있지 않은 것은 마치 물이 동서로 나뉘어 있지 않은 것과 같다.”고 하였다. 중간에 있는 자는 위, 아래로 인도할 수 있다고 하여 교화에 힘입어야 함을 인정하고 있
.
인간을 바라보는 두 시각
.
인간을 바라보는 두 시각




다. 왕충(王充)이 최초로 주장하였으며. 그의《논형(論衡)》의 <본성편(本性篇)>에서는 인간의 선성(善性)을 길러서 돋우면 선이 자라고 악성(惡性)을 길러서 돋우면 악이 자란다고 하였다. 이것은 선은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후천적임을 지적한 것이다.
순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인간을 바라보는 두 시각
미국 예일대 “킬리 햄린”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재미난 實驗을 통해 생후 1년이 채 못 된 아기들도 남을 돕는 착한 존재와 나쁜 존재를 구별해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며 ‘네이처’에 발표된 햄린 교수팀의 연구를 소개했다. 백지설(白紙說)과 일맥상통하다고 할 수 있따
2. 인간의 본성에 관한 학설
.
인간을 바라보는 두 시각
인간의 본성에 관해 다음과 같은 학설들이 존재한다.
Download : 인간을 바라보는 두 시각.hwp( 55 )
이처럼 인간의 본성에 관한 사람들의 관심은 맹자와 순자가 세상을 떠난 지 2천년이 지난 지금도 뜨겁고, 앞으로도 그 열기는 계속될 것이다.
네 번째로, 성선악혼설은 인간의 성은 선하기도 하며 악하기도 하다는 관점이다. 맹자의 제자 공도자(公都子)가 이 말을 인용하여 “성은 선해질 수 있고 불선해질 수도 있따”고 한 것도 인간의 본성이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는 것이다.
인간을 바라보는 두 시각 인간을 바라보는 두 시각 인간을 바라보는 두 시각 인간을 바라보는 두 시각 인간을 바라보는 두 시각
설명
아기들도 ‘착한 사람’은 알아본다?
두 번째로, 성악설(性惡說)은 순자가 제창하였으며 “인간의 성품은 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