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세계와 그 위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22 09:06
본문
Download : 나의 세계와 그 위기.hwp
브레들리는 헤겔의 보편적 자아를 실현시키기 위해 ‘사회적 자아’의 개념(槪念)을 說明(설명) 한다. ‘자아실현’의 도덕적 목적을 완성하려할 때 의무수행을 성실히 해서 그것에 도달하려는 칸트와 쾌락의 달성을 통해 자아실현에 도달하려는 말이 모두 일면적인 측면 즉, 형식 또는 내용을 강조한 반면, 브레들리는 헤겔의 일면적 악무한을 지양하고 진무한의 단계로 나아가는 변증법적 방법으로 구체적 보편자를 향해 나아간다.
이것에 관련되어 나는 전적으로 동의하는 바인데, 그것은 브레들리의 文化(문화)적 논증과 맥을 같이한다. . 따라서 브레들리의 자기비판에서 던졌던 질문 중 하나인 개인적으로 사회와 단절된 삶을 사는 예술가의 경우로 文化(문화)적 논증을 좀더 깊이 들어가면 해결될 수 있는 문제일뿐더러 본능적인 삶의 욕구를 위해 文化(문화)의 원시적이고 생존적인 부분을 이용하는 로빈슨 크루소…(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다. 文化(문화)란 것이 인간이 본능 이상의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만들어놓은 정신, 물질의 형식적 축적을 말한다면, 우리가 일상을 통해서 행하는 모든 것이 文化(문화)라 해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자아를 바탕으로 한 자아만이 자아실현을 이룰 수 있고, 우리가 ‘자아’라는 말을 사용할 때에 그것은 이미 사회적 자아였다고 말한다.
나의 세계와 그 위기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나의세계와그위기
나의세계와그위기 , 나의 세계와 그 위기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Download : 나의 세계와 그 위기.hwp( 55 )
1. 사회적 자아
2. 공동체적 기대
3. 나의 세계
4. 세계의 확장과 자아실현
5. 세계의 위기
6. conclusion(결론)
1. 사회적 자아
나는 이 글에서 헤겔의 보편적 자아를 바탕으로 한 브레들리의 사회적 관계와 불가분의 관계인 사회적 자아개념(槪念)을 가지고 나의 생각을 요약하려한다. 수많은 관계 속에서 자아, 즉 나 자신의 정체성과 타인과의 관계성. 가족, 친구, 동료, 그리고 더 나아가서 지역 사회와 국가의 관계까지의 모든, 사회적 관계를 고려해 볼 때, ‘나’는 무엇이고, 그들과의 관계는 과연 어디까지 ‘나’에게 effect을 줄 수 있을까? 또 나는 그들을 위해서 존재하는가, 그들이 나를 위해 존재 하는가? 그리고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아가 형성 되었을 때 처음 되는 나의 의무들을 조망해 보고 마지막으로 어떤 그런 유기체적인 시각이 완성되었을 때 우리사회의 drawback(걸점)들은 어떤 原因과 양상으로 보여 질까에 관련되어 글을 써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