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거지향평가와 규준지향평가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28 22:45본문
Download : 준거지향평가와 규준지향평가 비교.hwp
이때, 이렇게 비추어 볼 수 있는 자(尺)를 미리 만들어 놓는 것이 규준이다.
준거지향평가와,규준지향평가,비교,기타,레포트
순서
준거지향평가와 규준지향평가 비교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즉, 한 검사 점수는 어떤 집단의 검사결과와 비교할 때 의미를 갖게 되는데, 이때 비교하는 집단의 검사결과를 규준이다 한다.
평가 결과를 주…(To be continued )
레포트/기타
준거지향평가와 규준지향평가 비교
Download : 준거지향평가와 규준지향평가 비교.hwp( 36 )
다.
※규준(norm)이란? 심리측정(測定) 에서는 인간의 여러 가지 特性을 측정(測定) 하기 위해 지능검사, 인성검사, 학력검사 등을 통해 인간행동을 외형적으로 observe하려는 접근방법을 취하고 있따 이때 어떤 검사에서 한 개인이 얻은 점수인 원점수(raw score)는 아무런 의미가 없고, 그 원점수를 어떤 기준에 비추어 볼 때만 그 의미나 해석이 가능하다.
5. 특징
- 학습자의 개인차를 극대화시키는 선발적 기능을 강조한다.
2. 교육관 : 선발적 교육관
교육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goal)나 수준에 도달할 수 있는 사람은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설명
준거지향평가와 규준지향평가 비교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선발적 교육관은 모든 학생이 교육목표(goal)에 도달할 수 있다는 교육의 가능성을 부정한다. , 준거지향평가와 규준지향평가 비교기타레포트 , 준거지향평가와 규준지향평가 비교
▣ 규준지향평가
1. 관념 : 평가 기준의 어떤 표준척도에 의하여 조작되는 평가의 형태로서, 주어진 교육목표(goal)의 달성도와는 상관없이 다른 학생이 자신보다 시험점수가 높은가 낮은가에 따라서 자신의 수준이 결정된다된다. 즉, 인간의 발전성에 대한 신념이나 교육의 힘에 대한 신념을 흐리게 할 우려가 있따
3. 평가 목적 - 규준지향평가의 주된 목적은 집단 내에서 각 점수의 개인별 비교를 하는 데 의의가 있따 평가결과는 T점수, Z점수, 표준점수, 백분위 등으로 표시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따(수능 1등급 우선선발, 고교 입학 시 내신 3% 특별전형 등..)
4. 평가 기준 : 학생들의 상대적인 성취 정도 (ex. 수능)
개별 성취정도가 아니라, 다른 학생들과 비교해서 얼마나 성취하였는지를 기준으로 한다. 이러한 평가관은 소수의 우수자를 가려내거나 학습 후에 학업 성취 수준의 차이를 밝히려는 입장을 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