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표준 발음과 방언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9 10:19본문
Download : 북한의 표준 발음과 방언연구.hwp
황해도 지역에 쓰이는 방언은 이 방언만의 독특한 특징도 있지만, 인접 지역의 방언 특징을 부분적으로 보유하고 있다 대체로 북부 지역은 평안도 방언의 특징을 많이 지니고 있고 멸악산맥의 남부 지역은 경기도 방언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때문에 황해도 방언은 학자마다 견해가 달라 중부방언의 한 하위 방언으로 분류되기도 하고 평안도 방언의 하위 방언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모음체계의 동요는 비단 평안도 방언뿐만 아니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china의 평안도 출신 조선족이나 함경도 방언에서도 볼 수 있다
…(투비컨티뉴드 )
,법학행정,레포트
북한 각 지역의 방언의 특징과 함께 북한 표준어에 대해서 기술해 놓은 레포트 입니다.
2.1. 평안도 방언
대체로 평안남북도에서 말해지는 방언을 평안도 방언 혹은 서북 방언(서북방언)이라 하는데, 인접한 황해도의 북부와 서부 지역도 평안도 방언의 특징을 부분적으로 지니고 있다 평안도 방언은 그 발음 특징이 다른 방언에 비해 독특하고, 문법이나 어휘 면에서도 중부방언과는 다른 면을 지니고 있어 비교적 잘 알려져 있다
2.1.1. 음운
2.1.1.1. 음운체계
1) 모음체계
8~6개의 단모음[단모음, (ㅣ, ㅔ, ㅐ, ㅡ, ㅓ, ㅜ, ㅗ, ㅏ) ~ (ㅣ, ㅔ, ㅐ, ㅜ, ㅗ, ㅏ )]과 10개의 이중모음(ㅖ, ㅒ, ㅑ, ㅠ, ㅛ, ㅟ, ㅞ, ㅙ, ㅝ, ㅘ)을 가지며, 2개의 반모음(w, j)을 가진다. 여기서는 남한에서 쓰는 행정구획 명칭(해방 전의 명칭)을 그대로 쓰기로 한다.
모음체계는 이 방언의 모음체계가 observe된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엽까지 8모음체계를 유지해 왔다. 그리하여, 량강도, 자강도, 황해남도, 황해북도, 강원도와 같은 도가 신설되었다.[표준어]북한의표준발 , 북한의 표준 발음과 방언연구법학행정레포트 ,
레포트/법학행정
북한의 표준 발음과 방언연구
Download : 북한의 표준 발음과 방언연구.hwp( 14 )
설명
순서
다. 그러나 현재 노인층에서는 후설모음들의 동요가 심하고 젊은 층에서는 아예 후설모음 계열이 부분적으로 합류를 경험하면서 아래와 같이 6모음체계로 alteration(변화) 하였다.[표준어]북한의표준발






북한 각 지역의 방언의 특징과 함께 북한 표준어에 마주향하여 기술해 놓은 리포트 입니다.
2. 북한 각 지역의 방언 특징
북한 지역의 방언은 그 특징에 따라 크게 평안도 방언(서북방언)과 함경도 방언(동북방언)으로 나뉜다.
한편, 해방 이후 북한은 여러 次例(차례) 행정구역을 개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