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일반화학實驗(실험)] 평형 상수와 용해도곱 결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2-11 05:56
본문
Download : [자연과학][일반화학실험] 평형 상수와 용해도곱 결정.hwp
aA + bB -` cC + dD (a,b,c,d는 계수)
이것이 평형상태에 도달하면 reaction(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비는 일정하여 이 값을 Kc 즉 평
형 상수라고 한다.
생성물과 reaction(반응)물이 일정한 비율로 존재하는 상태에서 외부의 관찰시 reaction(반응)이 정지된 것
처럼 보인다.
Kc〓…(drop)
[자연과학][일반화학實驗(실험)] 평형 상수와 용해도곱 결정
설명
실험결과/화학
순서
![[자연과학][일반화학실험]%20평형%20상수와%20용해도곱%20결정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D%8F%89%ED%98%95%20%EC%83%81%EC%88%98%EC%99%80%20%EC%9A%A9%ED%95%B4%EB%8F%84%EA%B3%B1%20%EA%B2%B0%EC%A0%95_hwp_01.gif)
![[자연과학][일반화학실험]%20평형%20상수와%20용해도곱%20결정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D%8F%89%ED%98%95%20%EC%83%81%EC%88%98%EC%99%80%20%EC%9A%A9%ED%95%B4%EB%8F%84%EA%B3%B1%20%EA%B2%B0%EC%A0%95_hwp_02.gif)
![[자연과학][일반화학실험]%20평형%20상수와%20용해도곱%20결정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5B%EC%9D%BC%EB%B0%98%ED%99%94%ED%95%99%EC%8B%A4%ED%97%98%5D%20%ED%8F%89%ED%98%95%20%EC%83%81%EC%88%98%EC%99%80%20%EC%9A%A9%ED%95%B4%EB%8F%84%EA%B3%B1%20%EA%B2%B0%EC%A0%95_hwp_03.gif)
[자연과학][일반화학실험] 평형 상수와 용해도곱 결정 , [자연과학][일반화학실험] 평형 상수와 용해도곱 결정화학실험결과 , 자연과학 일반화학실험 평형 상수와 용해도곱 결정
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내는 이유는 reaction(반응)물이 생성물로 전환되는 속도와 생성
물이 reaction(반응)물로 전환되는 속도가 같기 때문일것이다 따라서 평형상태는 정지된 것이 아니라
정reaction(반응)과 역reaction(반응)이 계속 진행되는 상태이지만 두 reaction(반응)의 속도가 같은 상태이다.
2. 시약
:
이 름
화학식
M.W
m.p(℃)
b.p(℃)
d(g/ml)
물
H₂O
18.01
0
100
1
수산화칼슘
Ca(OH)₂
74.09
580
-
2.24
염산
HCL
36.46
114.22
-25.05
1.49
수산화나트륨
NaOH
39.99
318
132.2
2.13
3. 기구
: 스탠드, 뷰렛, 뷰렛클램프, 지시약, 삼각플라스크 - 적정도구들
눈금실린더 10ml, 스포이드, 온도계, 거름종이, 비커, 마그네틱 바
4. theory
1) 평형(equilibrium)
: 가역reaction(반응)에서 정reaction(반응)의 속도와 역reaction(반응)의 속도가 평형인 상태를 화학평형이라고 한다.
2. 시약
:
이 름
화학식
M.W
m.p(℃)
b.p(℃)
d(g/ml)
물
H₂O
18.01
0
100
1
수산화칼슘
Ca(OH)₂
74.09
580
-
2.24
염산
HCL
36.46
114.22
-25.05
1.49
수산화나트륨
NaOH
39.99
318
132.2
2.13
3. 기구
: 스탠드, 뷰렛, 뷰렛클램프, 지시약, 삼각플라스크 - 적정도구들
눈금실린더 10ml, 스포이드, 온도계, 거름종이, 비커, 마그네틱 바
4. theory
1) 평형(equilibrium)
: 가역reaction(반응)에서 정reaction(반응)의 속도와 역reaction(반응)의 속도가 평형인 상태를 화학평형이라고 한다.
Download : [자연과학][일반화학실험] 평형 상수와 용해도곱 결정.hwp( 37 )
자연과학,일반화학실험,평형,상수와,용해도곱,결정,화학,실험결과
[자연과학][일반화학實驗(실험)] 평형 상수와 용해도곱 결정
평형 상수와 용해도곱 결정
1. 목적
: 색깔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착이온의 농도를 알아내어 착이온 생성 reaction(반응)의 평형상수를 결
정하고, Ca(OH)₂ 포화 용액에 공통이온 效果(효과)를 이용해서 용해도곱을 결정한다.
생성...
평형 상수와 용해도곱 결정
1. 목적
: 색깔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착이온의 농도를 알아내어 착이온 생성 reaction(반응)의 평형상수를 결
정하고, Ca(OH)₂ 포화 용액에 공통이온 效果(효과)를 이용해서 용해도곱을 결정한다. 평형상수가 크면 정반
응이 활발하여 생성물질이 많이 존재하는 것이고, 화학reaction(반응)식의 계수가 변하면 평형상
수 값도 변한다. 평형상수는 온도만의 함수로서 압력이나 농도에는 effect(영향) 을 받지 않는다.
2) 평형 상수(equilibrium constant)
: 평형상수는 생성물의 몰농도 곱과 reaction(반응)물의 몰농도 곱의 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