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times.co.kr [내역과전망] 최근 남북한의 고구려사 연구 내역 > bttimes3 | bttimes.co.kr report

[내역과전망] 최근 남북한의 고구려사 연구 내역 > bttimes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bttimes3

[내역과전망] 최근 남북한의 고구려사 연구 내역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4-03 08:22

본문




Download : [현황과전망] 최근 남북한의 고구려사 연구 현황.hwp






1. 중국(中國)의 고구려사 연구동향
중국(中國)의 고구려사 연구는 4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따
제 1단계(1880년대~1949년): 연구의 시초기로서 광개토왕비 중심의 금석학적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제 4단계(2002년~ 현재); 사회과학원 변강사지중심에 의해 ‘동북공정’이 처음 되면서 중앙政府(정부)차원에서 고구려사귀속문제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었다. 여기서는 중국(中國)의 고구려사 연구경향을 살펴본 다음 ‘동북공정’에 의한 고구려사왜곡 이후 남북한학계의 최근 고구려사 연구동향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중국(中國) 내 고구려사 연구의 분야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歷史(역사)일반, 정치, culture, 사회, 경제 순으로 분야별 연구가 진행되었다.




[현황과전망]%20최근%20남북한의%20고구려사%20연구%20현황_hwp_01.gif [현황과전망]%20최근%20남북한의%20고구려사%20연구%20현황_hwp_02.gif [현황과전망]%20최근%20남북한의%20고구려사%20연구%20현황_hwp_03.gif [현황과전망]%20최근%20남북한의%20고구려사%20연구%20현황_hwp_04.gif [현황과전망]%20최근%20남북한의%20고구려사%20연구%20현황_hwp_05.gif [현황과전망]%20최근%20남북한의%20고구려사%20연구%20현황_hwp_06.gif




[내역과전망] 최근 남북한의 고구려사 연구 내역
순서

전문자료/통계자료
설명

최근 남북한의 고구려사 연구 동향

중국(中國)은 2002년 2월부터 소위 ‘동북공정’이라는 프로젝트를 통하여 고구려사를 중국(中國)사로 귀속시키는 歷史(역사)왜곡작업을 추진하고 있따 이에 대해 한국학계는 2002년 12월 처음으로 이에 대한 대응을 한 이후, 2003년 11월 ‘중국(中國)의 고구려사왜곡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12월 9일 ‘중국(中國)의 고구려사 귀속문제 대처대안’ 학술세미나를 가진 이후 이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대응을 하고 있으며, 그 결과 2004년 3월 1일에는 고구려연구재단이 출범하여 고구려의 歷史(역사)와 culture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따 한편 북한에서도 2003년 ‘동명왕 출생 2300돐기념 고구려력사 전국학술토론회’를 열어 중국(中國)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응하는 학술발표회를 갖고, 2004년 8월에는 학술발표회에서 발표된 논문들과 새로 집필된 논문들을 모아 {고구려는 조선 중세력사의 대표적인 천년강국}이라는 논문집을 발간하였다.
제 2단계(1949년~1970년대): 연구의 침체기로서고구려 문물의 보호와 조사연구, 고구려 유적의 고고발굴과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drop)
과전망,최근,남북한,고구려사,통계자료,전문자료


[내역과전망] 최근 남북한의 고구려사 연구 내역

[현황과전망] 최근 남북한의 고구려사 연구 현황 , [현황과전망] 최근 남북한의 고구려사 연구 현황통계자료전문자료 , 과전망 최근 남북한 고구려사




Download : [현황과전망] 최근 남북한의 고구려사 연구 현황.hwp( 13 )


다.
제 3단계(1980년대~2001년): 연구의 부흥기로서 중국(中國) 둥북지방의 연구단체와 연구자들에 의해 고구려사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여러 분야에 걸쳐 연구가 진행되었다.
전체 18,73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bttime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