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times.co.kr 통증의학 - 중추신경계에서의 통증 경로[Pain Pathway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 bttimes3 | bttimes.co.kr report

통증의학 - 중추신경계에서의 통증 경로[Pain Pathway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 bttimes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bttimes3

통증의학 - 중추신경계에서의 통증 경로[Pain Pathway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30 05:05

본문




Download : 통증의학 - 중추신경계에서의 통증 경로[Pain Pathway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hwp




일차 구심섬유는 신체의 매우 작은 부위에 적용되는 좁은 범위의 특이한 자극(specific stimulus)에 확실하게 reaction(반응)한다. 이 장에서는 침해수용성 정보(nociceptive message)가 일차 구심섬유(primary afferent)가 끝나는 척수를 통해 더욱 문측에 위치한 뇌구조(rostral brain structure) 즉, 뇌간망상체(brainstem reticular formation), 시상(thalamus) 그리고 통증을 인식하는 대뇌피질(cortex) 까지 전달되는 과정을 추적할 것이다. 따라서 이런 경로에 대한 우리의 지식도 명확하지 못하다.

통증에 대한 중추신경계 경로(CNS pathway)의 연구는 말초신경계 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


설명
통증의학,-,중추신경계에서의,통증,경로[Pain,Pathway,in,the,Central,Nervous,System],의약보건,레포트




레포트/의약보건

Download : 통증의학 - 중추신경계에서의 통증 경로[Pain Pathway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hwp( 42 )


통증의학%20-%20중추신경계에서의%20통증%20경로[Pain%20Pathway%20in%20the%20Central%20Nervous%20System]_hwp_01.gif 통증의학%20-%20중추신경계에서의%20통증%20경로[Pain%20Pathway%20in%20the%20Central%20Nervous%20System]_hwp_02.gif 통증의학%20-%20중추신경계에서의%20통증%20경로[Pain%20Pathway%20in%20the%20Central%20Nervous%20System]_hwp_03.gif 통증의학%20-%20중추신경계에서의%20통증%20경로[Pain%20Pathway%20in%20the%20Central%20Nervous%20System]_hwp_04.gif 통증의학%20-%20중추신경계에서의%20통증%20경로[Pain%20Pathway%20in%20the%20Central%20Nervous%20System]_hwp_05.gif 통증의학%20-%20중추신경계에서의%20통증%20경로[Pain%20Pathway%20in%20the%20Central%20Nervous%20System]_hwp_06.gif






통증의학 - 중추신경계에서의 통증 경로[Pain Pathway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 통증의학 - 중추신경계에서의 통증 경로[Pain Pathway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의약보건레포트 , 통증의학 - 중추신경계에서의 통증 경로[Pain Pathway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통증의학 - 중추신경계에서의 통증 경로[Pain Pathway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중추신경계에서의 통증 경로(Pain Pathway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Ⅰ. 일차 구심섬유의 척수투사
1. 후근과 Lissauer 통로

Ⅱ. 척수의 층판 구조

Ⅲ. 일차 구심성 침해수용체의 종말부
1. 전근 구심섬유

Ⅳ. 침해수용성 일차 구심섬유 전달물질

Ⅴ. 중추신경계에서 통증전달세포
1. 구심성 입력에 의한 침해수용성 reaction(반응)의 억제

Ⅵ. 통증을 위한 상행 경로 : 척수의 전측방 사분의 일
1. 전측방 사분의 일에서 축삭의 문측 투사
2. 시상 수용부위와 입력경로
3. 침해수용성 시상뉴우런
4. 체성감각피질

Ⅶ. 통증의 감각-식별 대 정동-유동 측면
1. 전두엽의 역할

Ⅷ. 요약

2장에서는 서로 다른 일차 구심성 침해수용체(primary afferent nociceptor)를 활성화하는 자극의 형태와 인체에서 통증인식(p...

중추신경계에서의 통증 경로(Pain Pathway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Ⅰ. 일차 구심섬유의 척수투사
1. 후근과 Lissauer 통로

Ⅱ. 척수의 층판 구조

Ⅲ. 일차 구심성 침해수용체의 종말부
1. 전근 구심섬유

Ⅳ. 침해수용성 일차 구심섬유 전달물질

Ⅴ. 중추신경계에서 통증전달세포
1. 구심성 입력에 의한 침해수용성 reaction(반응)의 억제

Ⅵ. 통증을 위한 상행 경로 : 척수의 전측방 사분의 일
1. 전측방 사분의 일에서 축삭의 문측 투사
2. 시상 수용부위와 입력경로
3. 침해수용성 시상뉴우런
4. 체성감각피질

Ⅶ. 통증의 감각-식별 대 정동-유동 측면
1. 전두엽의 역할

Ⅷ. 요약

2장에서는 서로 다른 일차 구심성 침해수용체(primary afferent nociceptor)를 활성화하는 자극의 형태와 인체에서 통증인식(pain perception)에 대한 그들의 활성과의 관계에 대해 서술하였다. 반대로 중추신경계 뉴우런은 침해수용성과 비침해수용성 구심섬유을 모두 포함하는 수많은 일차 구심섬유이나, 때로는 다른 형태의 구심섬유로부터 …(To be continued )
통증의학 - 중추신경계에서의 통증 경로[Pain Pathway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순서

다.
전체 18,73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bttime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