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유당유고의 작자문제와 문학사적 의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08 23:01본문
Download : 의유당유고의 작자문제와 문학사적 의의.hwp
류탁일은 자료(資料)의 서지사항과 내용을 공개함과 동시에 女流文集인 『의유당유고』의 작자문제에 대상으로하여도 언급했다. 작자문제가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른 것은 1947년 李秉岐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된 『意幽堂日記』때문이었다.
5. 結論
『의유당유고』는 柳鐸一 에 의해 1977년 6월 제20회 전국 국어국문학 연구발표회를 통하여 처음으로 알려졌다.
2. 『의유당유고』의 문헌학적 검토
순서
의유당유고의 작자문제와 문학사적 의의
.
의유당유고의 작자문제와 문학사적 의의 의유당유고의 작자문제와 문학사적 의의 의유당유고의 작자문제와 문학사적 의의 - 목 차 - 1. 서론 2. 『의유당유고』의 문헌학적 검토 3. 『의유당유고』의 작자문제 4. 『의유당유고』의 문학사적 의의 5. 결론
의유당유고의 작자문제와 문학사적 의의
의유당유고의 작자문제와 문학사적 의의
하지만 『의유당유고』와 『의유당일기』의 작자문제가 매우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가 『의유당일기』에 나오는 작품 중 하나인 <동명일기>가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 실려 있다는 점이다. 이연성, 『의유당 관북유람일기의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1974,에서 이연성은 이병기의 작자에 대한 의견에 의구심을 피력했으나, 학계에서 별로 인정받지 못하였다.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의유당유고의 작자문제와 문학사적 의의
의유당유고의 작자문제와 문학사적 의의
Download : 의유당유고의 작자문제와 문학사적 의의.hwp( 51 )
4. 『의유당유고』의 문학사적 의의
본 연





이병기는 『의유당일기』를 처음으로 소개하면서, 작자를 “延安金氏의 의유당이라는 당호를 지닌 한 女史”로 “순조 29년(1829년) 가을에 이희찬이 함흥판관(咸興判官)으로 부임하매 의유당도 따라가 있으며 그 부근의 명승 고적을 찾아다니면 그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나는 바를 그 붓으로 적은” 것이라 하였다. 그러나 그 출전에 대상으로하여는 『의유당일기』또는『의유당관북유람일기』,『의유당유고』, 『의유당집』등으로 다양하게 교육되고 있으며, 작자문제에 대상으로하여도 연안 김씨, 宜寧南氏 등으로 다르게 알려져 있어 문제가 심각하다. 延安金氏著․李秉岐校註, 『意幽堂日記』, 白楊堂, 1947, p1,를 류준경, 『의유당관북유람일기』의 텍스크 성격과 여성문학적 가치, 『한국문학논총』 제45집,한국문학회, 2007.4, p.118에서 재인용.
지금까지 『의유당유고』와 『의유당일기』에 관한 연구는 매우 단편적이면서도, 제한적으로 이루어 졌다. 『의유당유고』에 관한 연구는 류탁일의 연구가 유일하고(1974),『의유당일기』또는 『의유당관북유람일기』에 대한 연구는 이연성,(1974),「춘일소흥 연구」,『이화어문논집』2,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문학회, 1978, pp. 90~125, 류탁일 (1978), 류준경(2007) 등으로 연구성과가 매우 미흡하다.
이 발표되기 전에는 『의유당일기』의 작자는 연안 김씨로 보는 것이 정설이었다.
.
- 목 차 -
1. 서론
설명
3. 『의유당유고』의 작자문제
즉 이병기는 『의유당일기』의 작자를 연안 김씨로 보았으며, 의유당의 또 다른 작품을 모아놓은 『의유당유고』가 발굴되고, 유탁일의 논문 류탁일, 「의유당유고와 그 작자」, 『국어국문학』76, 국어국문학회, 1977, pp.154~162.;「의유당일기의 작자에 대하여」,『한국문학논총』제1집, 한국문학회, 1978, pp.75~94.
의유당유고의 작자문제와 문학사적 의의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