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시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7 10:13본문
Download : 광고시장.hwp
외국의 경우 대행사 크리에이터들이 감독을 선택하게 되면 감독에게 직접 컨택을 하지 않고, 감독의 담당 프로듀서에게 연락을 하는 것이 정설이다. 감독 혼자의 팔방미인식 시스템은 질적 향상에 한계를 가져온다.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아서, 외국 CD들이 프로듀서를 만나고자 하면, 주먹구구식으로 조감독이 프로듀서 임무를 대신하게 되는 어처구니 없는 구조가 생기기도 하는 것이다. 감독 혼자의 짐을…(생략(省略))





Download : 광고시장.hwp( 59 )
설명
순서
,경영경제,레포트
레포트/경영경제
다. 대행사와 프로덕션 사이에서 합리적인 견적을 낼 사람이 없다는 소리다. 그러면, CD들이 감독이 이해를 잘하고 있는지, 아닌지에 대한 평가를 하고 만족을 하게 되면 프로덕션 프로듀서에게 견적을 뽑아 달라고 하는 시스템이다. 그 다음은 감독 담당 프로듀서와 대행사 프로듀서, 크리에이터와 삼자대면을 하고, 감독에게 이런 콘티가 있는데 CM의 컨셉과 트리트먼트를 먼저 프로듀서가 받아서 대행사에게 보내준다. 여기서 프로듀서가 있으면 전체적인 합리적인 선에서 조정이 되는 것이다. 견적에서부터 모든 것을 감독 자신이 컨트롤 한다. 이러다 보니 낮은 예산에 빨리 해야 되는 일, 비합리적인 일에 우리나라 감독들만 찾게 되는 것이 현실이 되고 있다 시급한 것은 시스템 문제이다.
광고시장
본 자료는 광고시장에 대한 리포트입니다. 우리는 대행사가 감독에게 500원을 주고 바로 컨택을 한다.광고시장 , 광고시장경영경제레포트 ,
광고시장
본 資料는 광고시장에 대한 리포트입니다. 이런 구조는 외국 대행사들이 우리나라 프로덕션을 컨택을 할 때도 문제가 생긴다.
나는 미디어산업 분야 중 광고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표준화된 해외 시스템을 도입해 글로벌화 되고 있는 광고시장, 그렇다면, 한국 광고계의 노동시스템은 어떤 구조이며, 문제가되는점 은 무엇일까?
우리나라 감독들은 팔방미인이다. 여기서 프로듀서들은 매우 자세히 디테일 하게 짜야 되며, 합리적인 금액에 대한 좋은 퀄리티를 보장할줄 알아야 되는 것이 프로듀서의 능력이다. 견적을 컨트롤 하는 사람이 없다. . 노동의 대가를 지불을 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닐것이다. 외국은 질(quality)은 곧 돈이다. 500원을 받고 300원짜리 광고를 만들 수도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