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공개절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16 02:54본문
Download : 기업공개절차.hwp
기업공개 및 신규상장의 시기 결정시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을 고려할 수 있다
· 기업의 수익력 및 장래의 수익력 확보 가능성
· 자본조달의 당위성 및 향후 재무정책
· R&D 또는 신규투자계획
· 기업신뢰도 및 인지도 확대
· 우리사주조합제도를 활용한 사내 분위기 진작
· 증권시장의 동향 등
특히, 증권거래소의 예비상장심사결과 상장적격성을 통보받은 기업은 상장적격성 통지접수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상장신청을 할 수 있어, 상장적격성을 통보받은 후 증권시장의 동향 등을 고려하여 공모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2) 기업공개 및 상장준비팀의 구성
기업공개 및 상장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경영관리조직의 정비와 각종 내규
정비, 관련서류 작성, 상장심사 및 유가증권신고서 제출 등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skip)
,경영경제,레포트
기업공개절차기업공개절차 , 기업공개절차경영경제레포트 ,
다.
Download : 기업공개절차.hwp( 69 )
기업공개절차
기업공개절차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기업공개절차






순서
기업공개 절차
목차
* 기업공개 절차
Ⅰ. 기업공개 및 상장시기 결정
Ⅱ. 기업공개 및 상장준비팀의 구성
Ⅲ. 상장준비
1. 재무정책 및 자본정책 등
2. 회계감사인 선정 및 회계감사
3. 주간사회사 선정
4. 정관정비
5. 유가증권발행인의 등록
6. 명의개서대행계약 체결
7. 우리사주조합의 구성
8. 증권거래소와의 예비접촉
9. 상장을 위한 이사회 결의
10. 최대주주 등의 소유주식 등 보호예수
Ⅳ. 상장신청 및 상장
1. 예비상장심사
2. 유가증권신고서
3. 공모절차
4. 신규상장
기업공개 절차
(1) 기업공개 및 상장시기 결정
일반적으로 소수주주가 경영하던 폐쇄기업이 공모를 통해 기업공개를 하고 발행주식을 증권거래소에 상장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철저한 준비를 하여야 한다. 특히 기업공개 및 신규상장은 기업의 성장 및 발전과정에서 단 한 목차만 실시하는 것이므로 의사결정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