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교육론 -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 형성의 원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30 00:10본문
Download : 고전시가교육론 - 잡가의 담당층과 사.hwp
잡가를 담당한 전문적 소리패 즉 잡가꾼은 크게 두 부류로 가닥을 잡을 수 있다 가곡, 가사, 시조의 고급문화 장르에 익숙하고 이러한 역량을 통해 12잡가(좌창의 긴잡가)와 휘모리잡가, 그리고 서도잡가(
고전시가교육론 -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 형성의 원리
고전시가교육론 -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 형성의 원리



그러나 정재호의 선구적 업적 정재호, 「잡가고」,『민족문화연구』 6집(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72).
설명
Ⅱ. 본론
본 발제에서는 김학성의 「잡가의 생성기반과 사설 엮음의 원리」와 성무경의 「잡가, <유산가>의 형성 원리」라는 두 편의 논문을 근거로 하여, 잡가의 여러 특성 중에서도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 형성의 원리’에 초점을 맞추어 발제를 진행하도록 하겠다. 이는 고급문화의 지나친 엄숙성 혹은 진지성이나 하층문화의 지나친 순수성 혹은 소박성으로는 흥행에 성공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잡가가 그만큼 잡연한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따라서 잡가의 장르적 속성이나 작품성격은 이들 잡가꾼이 도시 대중의 취향에 어떠한 방식으로 부응하느냐라는 작품화 원리의 의해서 결정될 것이다.
.
박애경, 「조선후기 시가 통속화 양상에 대한 연구」-잡가를 중심으로-,『연세어문학』27집(1995).
최근에는 이러한 장르론적 관심에서 한 걸음 나아가 잡가를 근대로의 전환기 혹은 근대초기의 대중가요의 시초로 보고 그 특유한 성격으로 통속성 혹은 대중성에 초점을 맞추어 그것이 어떠한 양태로 드러나 있는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이노형, 「한국근대 대중가요의 歷史적 전개과정 연구」(서울대 박사논문, 1992).
과 이규호, 최성수, 하희정, 이노형, 최원오, 손태도 등에 의한 후속적 연구에 힘입어 잡가를 가사나 민요와는 다른 독자적 장르로 거듭 확인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잡가의 범주 설정과 유형적 특성 및 담당층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잡가는 연구 초기 뚜렷하게 장르적 특성이 밝혀지지 못하였고, 또 그 장르의 개념(槪念)이나 범주도 불분명하여 가사의 하위 범주로 논의되거나 민요의 한 범주로 논의되고, 한편으로는 유행가로 지목되는 등, 장르의 정체성 파악에 혼란을 거듭해온 문제적 장르이다.
고전시가교육론 -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 형성의 원리
잡가의 이러한 작품 외적 생성 조건은 고급문화의 취향에서 자유롭지 못한 전문가객이나 하층문화의 취향에서 자유롭지 못한 유랑예인의 한계를 동시에 극복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인 잡가꾼에 의해서 작품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 잡가의 담당층과 향유층
고전시가교육론 -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 형성의 원리
다. 잡가는 일단 도시의 대중이라는 대규모의 청중 앞에서 흥행에 성공할 수 있는 음악적 세련성과 전문성을 갖추어야 하고 또한 대중의 취향에 영합하고 호기심을 끝없이 자극해야 하는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1. 잡가의 생성조건 및 성격
.
순서
고전시가교육론 -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 형성의 원리 고전시가교육론 -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 형성의 원리
고전시가교육론 -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 형성의 원리
.
Download : 고전시가교육론 - 잡가의 담당층과 사.hwp( 27 )
, 잡가의 정체성 해명에 보다 진전을 보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