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times.co.kr [교육과 교육고전의 이해] 정약용 목민심서의 내용과 감상평(교육고전의이해 공통) > bttimes4 | bttimes.co.kr report

[교육과 교육고전의 이해] 정약용 목민심서의 내용과 감상평(교육고전의이해 공통) > bttimes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bttimes4

[교육과 교육고전의 이해] 정약용 목민심서의 내용과 감상평(교육고전의이해 공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15 11:45

본문




Download : 정약용목민심서.hwp





Ⅰ 정약용 목민심서의 내용과 줄거리
[교육과 교육고전의 이해] 정약용 목민심서의 내용과 감상평(교육고전의이해 공통)
정약용목민심서-4850_01_.gif 정약용목민심서-4850_02_.gif 정약용목민심서-4850_03_.gif 정약용목민심서-4850_04_.gif 정약용목민심서-4850_05_.gif

Download : 정약용목민심서.hwp( 95 )



목민심서의 저자 정약용은 정조 연간에 문신으로 사환했으나, 청년기에 접했던 서학으로 인해 장기간 유배생활을 하였다. 정약용은 유배기간 동안 자신의 학문을 더욱 연마해 육경사서에 대한 연구를 비롯해 일표이서 등 모두 500여 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술을 남겼고, 이 저술을 통해서 조선 후기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정약용은 이익의 학통을 이어받아 발전시켰으며, 각종 사회 개혁사상을 제시였다.



Ⅱ 정약용 목민심서의 개인意見과 평가



1. 『목민심서(동양 고전으로 未來를 읽는다 001)』 / 정약용지음, 노태준옮김, 홍신文化(culture) 사, 2007년

2. 『실천적 theory 가 정약용』 / 금장태지음, 이끌리오, 2005년


※ 【 참 고 문 헌 】





-본문일부-



-목차-


정약용이 저술한 목민심서는 청렴, 애민, 덕망, 충, 효 등 유교의 관점을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 목민심서는 성리학에서 다루는 인간 내적인 우주-자연의 이치 및 기운 등의 문제와 인간심성의 탐구의 범주보다는 선진유학에서 다루어 왔던 인간관계에 착안한 윤리-도덕에 비중을 두고 있다 다시 말해 유교 사상이 소망하는 목표(goal)인 자기수양을 통해 자신의 경지를 성인의 단계까지 높이고 유교에서 오늘날에 윤리라 불리어지는 ‘수기’와 정치문제인 ‘치인’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이 현실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상적 근간을 유교로 두고 있으면서 기존의 성리학적 비판과 현실 비판으로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중략)

Ⅰ 정약용 목민심서의 내용과 줄거리
다.
정약용은 바로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을 가지고 태어났고, 소시적부터 이러한 학문적 분위기를 접하게 되었다. 정치-경제-사회-culture 등 history(역사) 현상의 전반에 걸쳐 전개된 그의 사상은 조선왕조의 기존 질서를 전적으로 부정하는 혁명론이었다기 보다는 파탄에 이른 당시의 사회를 개량하여 조선왕조의 질서를 새롭게 강화시키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정약용은 진주목사를 역임했던 정재원과 해남윤씨 사이에서 4남 2녀 중 4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친인척들도 이곳의 학풍을 발전시키는 데 일익을 담당하고 있었다. 그들은 정권을 장악하고 있던 노론들이 존중하는 성리설과는 달리 선진유학에 기초한 새로운 개혁의 theory(이론)을 일찍부터 발전시킬 수 있었다.
정약용 목민심서의 내용과 감상평(교육고전의이해 공통)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정약용 목민심서의 내용과 감상평(교육고전의이해 공통) ※ 【 참 고 문 헌 】 1. 『목민심서(동양 고전으로 미래를 읽는다 001)』 / 정약용지음, 노태준옮김, 홍신문화사, 2007년 2. 『실천적 이론가 정약용』 / 금장태지음, 이끌리오, 2005년
정약용, 목민심서, 교육고전의이해, 교육학, 독후감, 감상문
순서
18세기 후반에 조선의 지식인들은 당쟁의 과정에서 오랫동안 정치 참여로부터 소외되었던 근기 지방의 남인들을 중심으로 하여 기존의 통치방식에 회의를 갖게 되었다. 정약용의 부친은 음사로 진주목사를 지냈으나, 고조 이후 삼세가 포의로 세상을 떠났으니, 비록 양반이며 그 이전까지는 대대로 벼슬을 했지만, 그의 집안은 당시로서는 권세와 별로 가까운 처지가 아니었던 셈이다. 이들의 학문적 경향을 근기학파라는 범주 안에서 이해하기도 한다. 이는 아래의 글에서 잘 나타난다. 그가 태어난 양근 땅 일대는 뒷날의 연구자들로부터 실학자로 불리게 된 일군의 학자들이 새로운 학풍을 형성해 가던 곳이었다.
전체 18,66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bttime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