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times.co.kr 실내공기환경 > bttimes4 | bttimes.co.kr report

실내공기환경 > bttimes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bttimes4

실내공기환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7 14:08

본문




Download : 실내공기환경.hwp




2 , 실내공기환경공학기술레포트 ,


실내공기환경_hwp_01.gif 실내공기환경_hwp_02.gif 실내공기환경_hwp_03.gif 실내공기환경_hwp_04.gif 실내공기환경_hwp_05.gif 실내공기환경_hwp_06.gif


2
지난 200여년 동안 실내공간내에서 사람이 주요한 단일 오염원이라는 가정이 실내공기環境(환경)과 관련된 환기槪念에서 지배적인 철학으로 작용해 왔다. 또한, 최근에는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오염원의 대상이 인체에서 인체와 건물로 오염원에 대한 고려가 전환되고 있다아 이는 과거에는 상대적으로 제한된 건축재료만을 사용함으로써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던 건축자재로 인한 실내공기오염이 오늘날 검증되지 않은 수많은 신자재들이 실제 건물에 적용되고, 그것이 실내공기環境(환경)에 影響(영향)을 미치는 상대적으로 치명적일 수 있는 오염물질들을 방출한다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 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3-3-2 주요국가의 환기기준

(1) ASHRAE 환기기준

ASHRAE에서는 1973년 ASHRAE Standard 62 1973에서 다양한 거주조건하에서의 최소환기량과 권장량을 설정한 이후, 흡연구역 및 흡연여부의 판단, 실내오염증가 문제 등 여러 요소에 관한 추가검토 요구에 따라 몇번의 개정작업을 거쳐 에너지소비와 실내오염문제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ASHRAE Standard 62 1989를 제시하고 있다아 ASHRAE Standard 62 1989에서는 전반적인 환기기준을 높이는 대신 흡연시와 비흡연시의 구분을 없애고 일괄적인 환기기준을 제시하면서 흡연라운지와 같이 흡연전용실의 경우에는 다른 실의 3배에 가까운 높은 환기기준(30㎖/s˙人)을 제시하였다.,공학기술,레포트


순서



실내공기환경


실내공기환경에 대한 글입니다.
그러나, 1930년대 중반이후부터 기존 환기槪念에 중요한 전환점을 맞게 되는데, 즉 환기가 독성물질이나 감염물질의 희석이 아닌 쾌적을 위해 필요하다는 생각이 대두된 것이다.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실내공기환경.hwp( 59 )


실내공기환경에 대한 글입니다. 또한 실용도의 property(특성)에 따라서 필요환기량의 비중을 달리 제시하고 있는데 디스코텍, 바, 칵테일 라운지와 같이 많은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 미용실과 같이 화학물질이 빈번하게 사용되는 곳, 병실과 같이 허약자가 거주하는 곳 등의 시설에 높은 환기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각 실의 예상 최대밀도를 제한하여 그 이상의 과밀실의 경우는 환기기준설정에서 …(skip)




다.
전체 18,66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bttime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