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times.co.kr 파산법상 의 면책제도 - 파산법상의 면책제도에 대한 법적 검토 > bttimes4 | bttimes.co.kr report

파산법상 의 면책제도 - 파산법상의 면책제도에 대한 법적 검토 > bttimes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bttimes4

파산법상 의 면책제도 - 파산법상의 면책제도에 대한 법적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4 17:14

본문




Download : 파산법상의면책제도.hwp




관할법원은 파산선고를 한 법원의 전속관할로 되어 있다아
면책신청의 시기는 파산선고시부터 파산절차 해지시까지이며, 파산선고와 동시에 파산폐지의 결정을 하는 동시폐지 결정이 내려진 경우에는 동시폐지 결정이 확정된 후라도 1개월 이내에는 면책신청을 할 수 있다아 실무상 동시폐지 사건은 대부분 파산선고 후 그 확정 전까지 면책신청이 제기되고 있다아 파산자가 책임 없는 사유로 인하여 위 면책신청기간 내에 면책신청을 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그 사유가 그친 후 30일 이내에 면책신청의 추완을 할 수 있다아

3. 면책불허가 사유

모든 파산자가 법원으로부터 면책을 허가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파산법 제346조에서 열거하고 있는 면책불허가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면책허가 결정을 받을 수 없도록 되어 있다아 실무상 주로 문제가 되어지고 있는 면책불허가 사유로는 다음의 경우를 들 수 있다아

① 파산자가 낭비, 도박, 기타 사해행위로 현저히 재산을 감소시키거나 과대한 채무를 부담한 경우, ②…(투비컨티뉴드 )
파산법상 의 면책제도


파산법상 의 면책제도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다. 즉, 면책을 받은 파산자는 파산절차에 의한 배당을 제외하고 파산채권자에 대한 채무의 전부에 관하여 그 책임이 면제된다

면책제도에 관한 입법례로는 일정한 비율 이상의 변제를 전제로 면책을 인정하는 예(영국), 일정 기간 성실한 채무변제의 노력을 할 것을 조건으로 하는 예(독일), 일정한 면책불허가 사유가 없는 한 면책을 허가할 수 있도록 하는 예(미국)로 구분할 수 있다아 우리나라는 가장 널리 면책을 인정하는 미국식 입법례를 채택하여 면책불허가 사유가 없는 한 조세, 벌금, 고용인의 급료 등 파산법 제349조에서 정하고 있는 비면책채권을 제외하고는 파산채권의 전부에 관하여 책임을 면제하는 제도를 두고 있다아

2. 면책신청의 절차

면책신청권자는 파산자이다. , 파산법상 의 면책제도 - 파산법상의 면책제도에 대한 법적 검토인문사회레포트 , 파산법상 면책제도
파산법상,면책제도,인문사회,레포트






설명



파산법상의면책제도_hwp_01.gif 파산법상의면책제도_hwp_02.gif
레포트/인문사회
파산법상 의 면책제도 - 파산법상의 면책제도에 대한 법적 검토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Download : 파산법상의면책제도.hwp( 28 )



순서



파산법상의 면책제도에 대한 법적 검토

1. 면책제도의 의의

파산법상의 면책이란, 파산자와 파산절차에 의하여 배당·변제되지 아니한 잔여 채무에 관한 변제책임을 면제하는 것을 말한다.
전체 18,66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bttime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