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 유림가(儒林歌) / 상대별곡(霜臺別曲)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2 18:32본문
Download :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유림가(儒林歌) 상대별곡(霜臺別曲).hwp
곧 건국의 위엄으로 말미암아 문치 태평(文治太平)하다는 유림의 기대 부응에 대한 탄상(嘆賞)을 드러냈다.)
기수에 가서 목욕하고 무우(霧雩)에 가서 바람 쐬고 노래 부르며 돌…(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연대 : 미상(세종 때로 추정함)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 유림가(儒林歌) / 상대별곡(霜臺別曲)
다.
아, 궁차락아 궁차궁차락아(또는, 우리들 가난하여도 즐겁도다.)
기수에 가서 목욕하고 무우(霧雩)에 가서 바람 쐬고 노래 부르며 돌아오리라.
아, 궁차락아 궁차궁차락아
□ 주제 - 성군의 출현 찬양
제 2 장
오백 년이 지나 사수(泗水)의 물이 맑아, 성군께서 다시 나라를 일으키시니 천하가 태평하도다.
전문 풀이
제 1 장
고려 왕조 오백 년이 지나고 황하가 물이 맑아, 성군(이 태조)께서 다시 나라를 일으키시니 모든 백성이 골고루 기쁨을 누리는 즐거움이로다.
아, 궁차락아 궁차궁차락아(또는, 우리들 가난하여도 즐겁도다.핵심 정리 연대 : 미상(세종 때로 추정함) 작자 : 미상 종류 : 악장(속요체) 형식 : 전 6장, 각 장 4행(후렴구는 3행)... ,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 유림가(儒林歌) / 상대별곡(霜臺別曲)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형식 : 전 6장, 각 장 4행(후렴구는 3행)...
%20%EC%9C%A0%EB%A6%BC%EA%B0%80(%E5%84%92%E6%9E%97%E6%AD%8C)%20%EC%83%81%EB%8C%80%EB%B3%84%EA%B3%A1(%E9%9C%9C%E8%87%BA%E5%88%A5%E6%9B%B2)_hwp_01.gif)
%20%EC%9C%A0%EB%A6%BC%EA%B0%80(%E5%84%92%E6%9E%97%E6%AD%8C)%20%EC%83%81%EB%8C%80%EB%B3%84%EA%B3%A1(%E9%9C%9C%E8%87%BA%E5%88%A5%E6%9B%B2)_hwp_02.gif)
%20%EC%9C%A0%EB%A6%BC%EA%B0%80(%E5%84%92%E6%9E%97%E6%AD%8C)%20%EC%83%81%EB%8C%80%EB%B3%84%EA%B3%A1(%E9%9C%9C%E8%87%BA%E5%88%A5%E6%9B%B2)_hwp_03.gif)
%20%EC%9C%A0%EB%A6%BC%EA%B0%80(%E5%84%92%E6%9E%97%E6%AD%8C)%20%EC%83%81%EB%8C%80%EB%B3%84%EA%B3%A1(%E9%9C%9C%E8%87%BA%E5%88%A5%E6%9B%B2)_hwp_04.gif)
%20%EC%9C%A0%EB%A6%BC%EA%B0%80(%E5%84%92%E6%9E%97%E6%AD%8C)%20%EC%83%81%EB%8C%80%EB%B3%84%EA%B3%A1(%E9%9C%9C%E8%87%BA%E5%88%A5%E6%9B%B2)_hwp_05.gif)
%20%EC%9C%A0%EB%A6%BC%EA%B0%80(%E5%84%92%E6%9E%97%E6%AD%8C)%20%EC%83%81%EB%8C%80%EB%B3%84%EA%B3%A1(%E9%9C%9C%E8%87%BA%E5%88%A5%E6%9B%B2)_hwp_06.gif)
설명
the gist 요약
종류 : 악장(속요체)
Download :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유림가(儒林歌) 상대별곡(霜臺別曲).hwp( 30 )
작자 : 미상
,인문사회,레포트
point 정리(arrangement)
연대 : 미상(세종 때로 추정함)
작자 : 미상
종류 : 악장(속요체)
형식 : 전 6장, 각 장 4행(후렴구는 3행) 각 장의 전후(前後)는 대구 형식. 먼저 china 고사를 제시하고 뒤에 부회(附會)함
제재 : 조선의 건국
주제 : 성군(聖君) 출현의 송축(頌祝)
작품 해설
새 왕조의 건국을 칭송한 이 노래는 고려 속요체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한자어의 나열에서 오히려 경기체가의 모습을 엿볼 수도 있다아 후렴구는 반복의 효능를 주며, 중의적 표현으로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사상을 느낄 수도 있다아
또한 이 노래는 건국의 송축만이 아닌 유림 자신들의 이상도 함께 노래하고 있다아 특히 제 1,2장은 건국의 송축이 중심이고, 제 5,6장은 유림들의 이상을 노래하였으며, 그리고 제 3,4장은 양자의 중간적 내용이다. 가난해도 또한 가난해도 또한 즐겁도다.
오백 년이 지나 한강의 물이 맑아, 성군께서 다시 나라를 일으키시니 전쟁이 그치어 조용하게 되었도다.
오백 년이 지나 기수의 물이 맑아, 성군께서 다시 나라를 일으키시니 온갖 곡식이 풍성하도다. 가난해도 또한 가난해도 또한 즐겁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