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입자의 비중시험(KS F2308)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07 15:28본문
Download : 흙입자의 비중시험(KS F2308).hwp
(2) 4개의 비중병에 견출지로 표시를 하고 비중병의 무게(Wf)를 정확히 측정(measurement), 기록한다. 이번 실험에서는 전열기를 이용하여 비중병에 중탕을 실시하여 기포를 제거하고, 잘 흔들어서 기포를 제거하였다. 따라서 그 흙을 조성하는 광물질의 단위중량과 관계되므로 철분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면 비중의 값은 커진다.
(6) 증류수를 일정량 채운 후, 시료를 각각 비중병에 깔대기를 이용하여 남김없이 집어넣고, 비중병의 무게와 비중병내의 온도를 측정(measurement), 기록한다.
흙의 비중이란 4℃에서의 증류수의 단위중량에 대한 흙입자의 단위중량과의 比로 정의된다.
(9) 위의 방법으로 세번의 검정을 다시 실시한다. 흙의 비중은 흙의 단위중량을 계산하는데 쓰인다.
순서
-9567_01_.gif)
-9567_02_.gif)
-9567_03_.gif)
-9567_04_.gif)
-9567_05_.gif)
(10) 위의 측정(measurement), 기록한 data(資料)를 이용하여 흙입자의 비중을 계산 결정한다
(3) 하나의 비중병은 증류수를 선이 그어져 있는 높이까지 채우고 저울로 중량(Wa)을 정확히 측정(measurement)하여 기록한다. 흙의 간극비, 포화도와 함께 비중을 알면 전체단위중량, 건조단위중량등을 구할 수 있다아
(4) 임의의 온도(T℃)에서 증류수를 채운 비중병의 무게(Wa)는 아래의 식으로 구한다. 이때의 수온(T`℃) 역시 기록한다. 비중병 3개의 측정(measurement)이 끝나면 시료의 비중을 계산한다. 따라서 그 흙을 조성하는 광물질의 단위중량과 관계되므로 철분과 같은 ingredient을 포함하고 있으면 비중의 값은 커진다. 흙의 간극비, 포화도와 함께 비중을 알면 전체단위중량, 건조단위중량등을 구할 수 있다.
흙입자,흙,흙비중
설명
(7) 시료를 약 30분에 걸쳐서 침전시킨 후, 비중병의 기포를 제거한다.
(8) 기포가 모두 제거되었으면 비중병의 무게(Wb)를 계량하고 실온에서 충분히 방치한 후, 내용물의 온도(T℃)를 측정(measurement), 기록한다.
(1) 비중병 4개를 준비하여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다. 비중병내에 습기가 있어서는 안된다. 흙의 비중은 흙의 단위중량을 계산하는데 쓰인다.
(5) 노건조된 시료를 40번 채로 쳐서 50g씩 3집단을 채취한다.
흙입자의 비중시험(KS F2308)
Download : 흙입자의 비중시험(KS F2308).hwp( 87 )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흙의 비중이란 4℃에서의 증류수의 단위중량에 대한 흙입자의 단위중량과의 比로 定義(정의)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