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시문학] Samuel Taylor Coleridge의 Kubla Khan 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2-06 04:47본문
Download : [영미시문학] Samuel Taylor Coleridge의 Kubla Khan 분석.hwp
1. 시 introduction
2. 시 원문과 해석
1. 시 introduction
[영미시문학] Samuel Taylor Coleridge의 Kubla Khan 분석
Download : [영미시문학] Samuel Taylor Coleridge의 Kubla Khan 분석.hwp( 91 )
3. 주요 어구 및 단어 정리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영미시문학] Samuel Taylor Coleridge의 Kubla Khan 분석
Samuel Taylor Coleridge의 Kubla Khan 분석
설명
낭만적인 동양의 정경을 떠오르게 하는 이미지로 가득 찬 서정시, 「쿠블라이 칸」“Kubla Khan`은 「노수부의 노래」“The Rime of the Ancient Mariner`(1798), 「크리스타벨」“Christabel`(1816)과 더불어 콜리지의 가장 중요한 작품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따 콜리지 자신이 쿠블라이 칸을 미완성작(fragment)으로 간주함으로써, 시에 담긴 생생한 이미지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폭넓은 비평적 관심을 받았으며, 오랫동안 콜리지의 상상력과 창작론을 대표하는 시로 인식되었다.
[영미시문학] Samuel Taylor Coleridge의 Kubla Khan 分析(분석)
4. 플롯과 주요 특징
5쪽
5. 시의 비평
[영미시문학] Samuel Taylor Coleridge의 Kubla Khan 분석
순서
![[영미시문학] Samuel Taylor Coleridge의 Kubla Khan 분석-7074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6/%5B%EC%98%81%EB%AF%B8%EC%8B%9C%EB%AC%B8%ED%95%99%5D%20Samuel%20Taylor%20Coleridge%EC%9D%98%20Kubla%20Khan%20%EB%B6%84%EC%84%9D-7074_01_.gif)
![[영미시문학] Samuel Taylor Coleridge의 Kubla Khan 분석-7074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6/%5B%EC%98%81%EB%AF%B8%EC%8B%9C%EB%AC%B8%ED%95%99%5D%20Samuel%20Taylor%20Coleridge%EC%9D%98%20Kubla%20Khan%20%EB%B6%84%EC%84%9D-7074_02_.gif)
![[영미시문학] Samuel Taylor Coleridge의 Kubla Khan 분석-7074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6/%5B%EC%98%81%EB%AF%B8%EC%8B%9C%EB%AC%B8%ED%95%99%5D%20Samuel%20Taylor%20Coleridge%EC%9D%98%20Kubla%20Khan%20%EB%B6%84%EC%84%9D-7074_03_.gif)
![[영미시문학] Samuel Taylor Coleridge의 Kubla Khan 분석-7074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6/%5B%EC%98%81%EB%AF%B8%EC%8B%9C%EB%AC%B8%ED%95%99%5D%20Samuel%20Taylor%20Coleridge%EC%9D%98%20Kubla%20Khan%20%EB%B6%84%EC%84%9D-7074_04_.gif)
![[영미시문학] Samuel Taylor Coleridge의 Kubla Khan 분석-7074_05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0706/%5B%EC%98%81%EB%AF%B8%EC%8B%9C%EB%AC%B8%ED%95%99%5D%20Samuel%20Taylor%20Coleridge%EC%9D%98%20Kubla%20Khan%20%EB%B6%84%EC%84%9D-7074_05_.gif)
목차
다. 이후 수많은 비평가들이 본래의 시에 대한 진실성에 이의를 제기하면서도, 비평은 종종 낭만시의 전형으로 여겨지는 작품의 단편적인 자연(fragmentary nature)과 꿈같은 심상(dreamlike imagery)에 모아졌다. 반 무의식 상태에서, 콜리지는 2, 3백행에 달하는 시를 지었고, 그는 깨어나자마자 곧바로 시를 써내려가기 시작했다. 시인은 약물치료를 위해서 아편을 복용한 후, 사무엘 퍼차스(Samuel Purchas)의 『순례기』(Pilgrimage) 중 쿠블라이 칸의 궁전과 관련된 부분을 읽다가 잠이 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한 손님이 찾아와 그를 방해하였으며, 시인이 원래의 시 쓰기로 되돌아가려고 했을 때는 그 이미지들이 홀연히 사라져 그에게는 몽롱한 기억과 54행이라는 미완성 시만 남게 되었다. 비록 이 시가 1816년에 이르러서야 발표되었지만, 비평가들은 이 작품이 1797년과 1800년 사이에 쓰여 졌다는 것에 동의한다. 출판할 때, 콜리지는 “꿈속에서 본 환상. 미완성작(A Vision in a Dream. A Fragment)`이라는 부제를 부쳤고, 그 시의 독특한 기원을 설명하는 서문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