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times.co.kr 국제상사중재제도의 유형 및 관련 국제법규 - 국제상사중재제도 연구 > bttimes7 | bttimes.co.kr report

국제상사중재제도의 유형 및 관련 국제법규 - 국제상사중재제도 연구 > bttimes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bttimes7

국제상사중재제도의 유형 및 관련 국제법규 - 국제상사중재제도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23 21:38

본문




Download : 국제상사중재제도의유형및관련국제법규.hwp







다. 국제중재란 국내중재 외의 중재를 말하는 것으로서 당사자, 중재지, 중재인들이 둘 이상의 국가 영역에 관련된 것을 말한다.

국제상사중재제도의 유형 및 관련 국제법규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국제거래에서는 의외로 임의중재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기관중재를 이용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 국제상사중재제도의 유형 및 관련 국제법규 - 국제상사중재제도 연구법학행정레포트 , 국제상사중재제도의 유형 및 관련 국제법규 - 국제상사중재제도 연구
국제상사중재제도의 유형 및 관련 국제법규 - 국제상사중재제도 연구

Download : 국제상사중재제도의유형및관련국제법규.hwp( 59 )


순서
국제상사중재제도의유형및관련국제법규_hwp_01.gif 국제상사중재제도의유형및관련국제법규_hwp_02.gif 국제상사중재제도의유형및관련국제법규_hwp_03.gif 국제상사중재제도의유형및관련국제법규_hwp_04.gif



국제상사중재제도 연구

1. 국제상사중재제도의 유형

(1) 국내중재(Domestic Arbitration)와 국제중재(International Arbitration)

국내중재란 양 당사자가 모두 한 국가 내에 주된 영업소나 주소를 두고 있는 경우의 중재를 말한다. 국내중재와 국제중재를 구분하는 이유는 대부분 국가의 중재법규에서 국제중재에는 법원의 감독을 완화시켜 주거나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우대조치를 부여하기 때문일것이다

(2) 임의중재(Ad Hoc Arbitration)와 기관중재(Institutional Arbitration)

임의중재란 분쟁당사자들이 상설중재기관을 이용하지 아니하고 자신들의 의사 또는 계약에 의해 중재절차를 마련하여 해결하는 것을 말한다. 임의중재를 이용할 경우 중재인선임 등을 비롯한 중재절차 전반에 대해 중재규칙을 마련하여 되는데, 이는 상당히 어려운 일일 뿐만 아니라 사실상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임시중재에서는 대부분UNCITRAL 중재규칙 등과 같이 미리 마련된 규칙을 이용하게 된다

기관중재란 중재를 관리하는 기관의 감독 하에 행하는 중재를 말한다. 가장 대표적인 국제중재기관으로는 ICC 국제중재법원이 있으며, 이외에도 런던국제중재법원, 미국중재협회 등 현재 국제적으로 약 70여개의 중재기관이 활동하고 있다아 권위 있는 국제중재기관에서 중재판정을 받을 경우 그 집행을 승인받기 용이하다는 잇점이 있는 반면, 기관중재에는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drawback(걸점)이 있다아

2. 대표적인 중재법규

(1) 뉴욕협약

뉴욕협약이라 함은 1958년 뉴욕에서 체결된 외국중재판정이승인및집행에관한UN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To be continued )







설명
국제상사중재제도의 유형 및 관련 국제법규


국제상사중재제도의,유형,및,관련,국제법규,-,국제상사중재제도,연구,법학행정,레포트
레포트/법학행정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전체 18,80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bttime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