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과 영화의 서사요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6 10:06본문
Download : 소설과 영화의 서사요소.hwp
이런 change(변화)를 유도하는 매체상의 property(특성)으로 첫째, 표현방식의 차이를 들 수 있다 소설이 인물의 내면심리를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반면, 영화는 인물의 심리상태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시각화 시켜야만 한다. 즉 Discourse부분의 서사전달의 구조는 두 매체가 모두 가지고 있지만 소설이 대부분 중개자에게 의지하는 반면 영화에서 이 중개자의 역할은 소설에서만큼 강력하지 않다.
1) 내용의 형식
이야기(Story) 부분에서 내용의 형식부분인 사건과 사물들은 소설과 영화 두 매체가 모두 공유하는 부분이다.”
남자주인공인 ‘그’가 아내의 뼈 가루를 삼년동안이나 measure(방안) 어디엔가 묵혀 두었던 이유가 說明(설명) 되고 있는 장면이다. 그러나 소설이 영화화 되는 과정에서 이 두 요소는 각 매체들이 가지는 property(특성)으로 인해 change(변화)하게 된다된다. 이 장에서는 소설이 영화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서사요소들이 왜, 어떻게 change(변화)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레포트/감상서평
소설과 영화의 서사요소
순서
88




Download : 소설과 영화의 서사요소.hwp( 46 )
소설이 영화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서사요소들이 왜, 어떻게 變化하는가에 대하여 작성한 글입니다.88 , 소설과 영화의 서사요소감상서평레포트 ,
다. ‘어쩐지 지겨운 느낌’ 때문이라는 심리상태에 대한 표현을 영화에 나타내기 위해서는 몇 가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첫째, 내면적 독백의 방법으로 주인공인 그가 나레이터가 되어 ‘어쩐지 지…(투비컨티뉴드 )
설명
,감상서평,레포트
소설이 영화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서사요소들이 왜,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대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또 표명에 있어서도 소설이 언어적 표현을 사용함에 따라 표현방법을 화자와 시점, 문체, 인물의 대화체 등에 의거하는 반면 영화는 카메라 움직임, 미장센, 편집, 조명 등 시각적 요소들에 의존하는 차이를 보인다.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의 한 장면을 예로 보자.
“아내의 뼈는 연연해서가 아니라 버릴 곳이 없어 그동안 차일피일 보관해 오고 있었다고 할 수밖에는 없다.
소설과 영화는 두 매체 모두 Story 부분의 요소들은 모두 공유하고 있으나, Discourse부분에서는 현저한 차이를 보이게 된다된다. 장지(화장터)에서거나 아니면 산자락 같은 데에라도 진작 처분해 버릴 수도 있었을 것을 어쩐지 지겨운 느낌 때문에 그날은 그냥 들고 돌아왔던 것인데, 허접 쓰레기와 함께 처박아 둔 채 근 삼년이나 까맣게 잊어버리고 있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