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가공학 및 실습] 찹쌀과 멥쌀의 판정 및 쌀의 선도 및 정백도 판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09 04:33본문
Download : 찹쌀과 멥쌀의 판정 및 쌀의 선도 및.hwp
Lugol 용액을 이용하여 찹쌀과 멥쌀을 판정하였고, guaiacol 용액과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햅쌀과 묵은 쌀을 구별하였다.
쌀은 우리나라의 오랜 주식이었으나 최 근 그 소비량이 점차 감소되고 있는 실정으로 쌀 소비 확대 와 농촌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대안으로 쌀을 주원료로 하는 우리나라 전통 민속주의 연구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아 일반적으로 쌀의 주component은 곡립의 내부에 존재하는 전분이 70% 이상 차지하고 있으며, 단백질(7~8%), 지방(1~3%), 비타민, 무기질은 내부보다는 외층에......................
순서
다. 1. 찹쌀과 멥쌀의 판정
본 실험에서는 총 세 가지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이유는.......................

Download : 찹쌀과 멥쌀의 판정 및 쌀의 선도 및.hwp( 88 )
결과 및 고찰
본 實驗(실험)에서는 총 세 가지의 實驗(실험)을 진행하였다. experiment(실험) 전·후 색의 alteration(변화) 가 크지 않았고, 색의 alteration(변화) 가 존재하는 부분이 전부가 아닌 일부분만 약간 염색되있는 상태였으며, 찹쌀보다 멥쌀이 조금 더 염색이 된 상태였다. Lugol 용액을 이용하여 찹쌀과 멥쌀을 판정하였고, guaiacol 용액과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햅쌀과 묵은 쌀을 구별하였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서 론
설명
정백도, 식품가공, 가공실험, 선도, 루골액, lugol
[식품가공학 및 실습] 찹쌀과 멥쌀의 판정 및 쌀의 선도 및 정백도 판정
두 가지의 쌀인 찹쌀과 멥쌀을 가지고 Lugol 용액을 이용하여 두 가지를 염색해 본 결과는 Fig 1과 같다. 마지막으로 Methylene blue와 eosin 혼합액을 이용하여 현미와 햅쌀의 정백도를 판정하는 實驗(실험)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Methylene blue와 eosin 혼합액을 이용하여 현미와 햅쌀의 정백도를 판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