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times.co.kr [A+]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change(변화)시켰는가 > bttimes8 | bttimes.co.kr report

[A+]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change(변화)시켰는가 > bttimes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bttimes8

[A+]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change(변화)시켰는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30 19:50

본문




Download :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hwp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change(변화)시켰는가
·효종 - 척화파 등장, 복수설치 외치며 북벌론 주장.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로 노론사대신(김창협·이이명·이건명·조태채)이 죽음.

.

를 조직 후 김굉필·정여창 등의 영남 사림파가 등장
논쟁


설명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

·숙종 - 장희빈의 기호남인과 인현왕후의 서인의 대립⇒서인정치 주도 이후 서인은 척화·주화문제로 노론과 소론으로 갈라지는데 이는 병자호론 당시 강화도 함락될 때 윤선거가 강화도에서 순절하지 않고 살아서 도망 온 문제를 놓고 나타났다. 이런 조선제일주의는 영·정조 문예부흥이 실학이 아니라 조선성리학에 기반을 두고 발달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조선의 정치·경제·사회·문화는 성리학적 논리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1)정치세력-사림
·중종반정 - 기호 사림파 등장. 소릉복위 후 정몽주를 문묘종사함. 이후 조광조·김식 등의 기묘명현(己卯名賢) 배출 ⇒ 중종 14년 기묘사화

· 명종 - 을사사회가 일어나자 심성논쟁으로 성리학의 이해 심화. 서원건립 세력 확장.


2. 정치와 경제
·인조반정 - 연산군의 폐모론으로 반정이 일어나고, 폐모론의 주도세력이었던 북인은 정계에서 퇴출
·세종 - 집현전을 통한 성리학 연구, 문물제도 정비⇒세조찬탈 때 사육신과 생육신이 생겨남.

Download :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hwp( 60 )


·병자호란 - 삼전도의 굴욕



·성종 - 세로찬탈을 부정하는 소릉복위상소 남효온이 1478년(성종 9) 세조에 의해 물가에 이장된 단종의 생모 현덕왕후의 능인 소릉의 복위를 상소한 것.
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붕당정치론에 입각한 성리학 긍정론과 조선긍정론이 대두되면서 사대주의론은 조선제일주의로 바뀌었다. 이 문제로 윤선거의 아들 윤증과 송시열이 갈라지면서 회니시비가 일어났다. ·태종 - 정몽주를 영의정으로 추종, 이행 등 역성혁명의 절의를 지킨 두문동 72현과 그 후손들을 정계에 등장시킴.
순서
를 올리며 사림파로 등장한 남효온 등이 한명회 등 찬탈세력과 대립. 이들이 소학계 조선 연산군 때의 교육가 중화재, 강응정이 박연 등과 함께 만든 교육계.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change(변화)시켰는가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change(변화)시켰는가

·중종 후반 대 - 김안국, 백인걸, 이언적 등의 사림대거 등장. 백운동 서원 건립(사림세력기반)

·경종 - 신임사화 1721년(경종 1)~1722년 왕통문제와 관련하여 소론이 노론을 숙청한 사건.
·영조

·선조 - 사림파 주도의 동서분당
.
·현종 - 예송 조선 현종 때 궁중의례의 적용문제, 특히 복상기간을 둘러싸고 서인과 남인 사이에 크게 논란이 벌어진 두 목차의 사건.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9340_01_.jpg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9340_02_.jpg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9340_03_.jpg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9340_04_.jpg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따라서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에 대한 시각이 조선부정론에서 조선긍정론으로 바뀌면서 일어나는 커다란 쟁점들을 조선긍정론·성리학긍정론의 시각에서 정리(arrangement)해보려 한다.


기본적으로 조선은 성리학의 바탕위에 건국되었다.
.
·연산군 - 김일손의 소릉복위상소·조의제문 조선 전기의 학자 김종직이 세조의 찬탈을 비난한 글.
그러나 일제 강점기, 일본은 식민지사관을 통해 조선왕조를 당쟁론·사대주의론에 입각한 유교망국론·조선부정론으로 說明(설명) 하였고, 광복 후에도 여전히 조선사회를 봉건사회로 규정함으로써 민중을 농노로 설정하고 성리학을 봉건사상으로 상정하여 조선사회와 성리학 모두를 부정적으로 이해했다.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change(변화)시켰는가
성리학은 조선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사건으로 무오·갑자사회 당함.
결국 조선부정론·유교망국론은 조선긍정론·유교긍정론으로 전환되어 조선사회를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당쟁의 核心으로 인식되던 예송은 당시 헌법과 같았던 종법을 둘러싼 이념 논쟁이자 사회구성체 논쟁으로 생각되어 붕당정치의 核心으로 파악되었다.
전체 19,008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bttime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