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사회복지실천론] 행동주의 이론을 사회복지실천에 적용할 시 유용성과 한계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14 16:20본문
Download : [사회과학][사회복지실천론] 행동주의 이론을 사회복지실천에 적용할 시 유용성과 한계점.hwp
정상적(adaptation(적응) )이거나 비정상적(부adaptation(적응) )인 모든 행동은 같은 원칙으로 설명(explanation)되어 진다. 그러나 행동주의자들은 클라이언트의 동의가 윤리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천적으로도 성공을 위해 동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2. 사회복지실천에의 활용
행동수정에는 크게 두 가지 기본적인 원칙이 있다 첫째, 정상적이든 비정상적이든 행동은 모두 같은 원칙하에 발달된다는 것, 둘째, 모든 행동은 학습원리에 의해 수정되거나 alteration(변화) 될 수 있다는 것이 그것이다.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理論)은 행동이란 조작적 요인과 생물학적 요인, 그리고 reaction 적 요인이라는 세 가지 조절체계(regulatory system)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에 의해 획득되거나 유지된다고 하였다. 다만, 부adaptation(적응) 행동의 학습은 특정한 상황에서 제대로 기능하도록 하지 못하기 때문에 적절치 못한 학습인 것이다. 사회복지분야에서 행동주의적 접근이 많은 유용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행동이 클라이언트의 통제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워커에 의해 조작적으로 다루어진다는 이유로 윤리적 비판을 받기도 한다.
Download : [사회과학][사회복지실천론] 행동주의 이론을 사회복지실천에 적용할 시 유용성과 한계점.hwp( 24 )
![[사회과학][사회복지실천론]%20행동주의%20이론을%20사회복지실천에%20적용할%20시%20유용성과%20한계점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D%96%89%EB%8F%99%EC%A3%BC%EC%9D%98%20%EC%9D%B4%EB%A1%A0%EC%9D%84%20%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C%97%90%20%EC%A0%81%EC%9A%A9%ED%95%A0%20%EC%8B%9C%20%EC%9C%A0%EC%9A%A9%EC%84%B1%EA%B3%BC%20%ED%95%9C%EA%B3%84%EC%A0%90_hwp_01.gif)
![[사회과학][사회복지실천론]%20행동주의%20이론을%20사회복지실천에%20적용할%20시%20유용성과%20한계점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D%96%89%EB%8F%99%EC%A3%BC%EC%9D%98%20%EC%9D%B4%EB%A1%A0%EC%9D%84%20%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C%97%90%20%EC%A0%81%EC%9A%A9%ED%95%A0%20%EC%8B%9C%20%EC%9C%A0%EC%9A%A9%EC%84%B1%EA%B3%BC%20%ED%95%9C%EA%B3%84%EC%A0%90_hwp_02.gif)
![[사회과학][사회복지실천론]%20행동주의%20이론을%20사회복지실천에%20적용할%20시%20유용성과%20한계점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D%96%89%EB%8F%99%EC%A3%BC%EC%9D%98%20%EC%9D%B4%EB%A1%A0%EC%9D%84%20%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C%97%90%20%EC%A0%81%EC%9A%A9%ED%95%A0%20%EC%8B%9C%20%EC%9C%A0%EC%9A%A9%EC%84%B1%EA%B3%BC%20%ED%95%9C%EA%B3%84%EC%A0%90_hwp_03.gif)
![[사회과학][사회복지실천론]%20행동주의%20이론을%20사회복지실천에%20적용할%20시%20유용성과%20한계점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1%A0%5D%20%ED%96%89%EB%8F%99%EC%A3%BC%EC%9D%98%20%EC%9D%B4%EB%A1%A0%EC%9D%84%20%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C%97%90%20%EC%A0%81%EC%9A%A9%ED%95%A0%20%EC%8B%9C%20%EC%9C%A0%EC%9A%A9%EC%84%B1%EA%B3%BC%20%ED%95%9C%EA%B3%84%EC%A0%90_hwp_04.gif)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사회과학,사회복지실천론,행동주,이론,사회복지실천,적용할,시,유용성과,한계점,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사회과학][사회복지실천론] 행동주의 이론을 사회복지실천에 적용할 시 유용성과 한계점
[사회과학][사회복지실천론] 행동주의 이론을 사회복지실천에 적용할 시 유용성과 한계점
[사회과학][사회복지실천론] 행동주의 이론을 사회복지실천에 적용할 시 유용성과 한계점 , [사회과학][사회복지실천론] 행동주의 이론을 사회복지실천에 적용할 시 유용성과 한계점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사회복지실천론 행동주 이론 사회복지실천 적용할 시 유용성과 한계점
[사회복지실천론] 행동주의 이론(理論)을 사회복지실천에 적용할 시 유용성과 한계점
목 차
1. 행동주의모델에 근거한 사회복지실천의 특징
2. 사회복지실천에의 활용
3.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4. 행동주의모델의 유용성
5. 행동주의모델의 결점
1. 행동주의모델에 근거한 사회복지실천의 특징
학습이론(理論)에 근거를 둔 행동주의모델에서는 정신역동이론(理論)과는 달리 observe 가능한 행동에 초점을 둔다. 행동주의적 시각에…(drop)
다. 정신역동이론(理論)과 같은 질병모델에서는 부adaptation(적응) 행동이란 클라이언트의 심리 내면의 장애로 인한 증상으로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으로 보는 반면, 학습이론(理論)에 있어 부adaptation(적응) 행동은 adaptation(적응) 행동과 마찬가지로 학습되어진 것으로 본다. 정상적(adaptation(적응) )이거나 비정상적(부adaptation(적응) )인 모든 행동은 같은 원칙으로 설명(explanation)되어 진다. 다만, 부adaptation(적응) 행동의 학습은 특정한 상황에서 제대로 기능하도록 하지 못하기 때문에 적절치 못한 학습인 것이다. 따라서 행동주의모델은 observe되는 행동에 초점을 두고,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은 ...
[사회복지실천론] 행동주의 이론(理論)을 사회복지실천에 적용할 시 유용성과 한계점
목 차
1. 행동주의모델에 근거한 사회복지실천의 특징
2. 사회복지실천에의 활용
3.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4. 행동주의모델의 유용성
5. 행동주의모델의 결점
1. 행동주의모델에 근거한 사회복지실천의 특징
학습이론(理論)에 근거를 둔 행동주의모델에서는 정신역동이론(理論)과는 달리 observe 가능한 행동에 초점을 둔다. 정신역동이론(理論)과 같은 질병모델에서는 부adaptation(적응) 행동이란 클라이언트의 심리 내면의 장애로 인한 증상으로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으로 보는 반면, 학습이론(理論)에 있어 부adaptation(적응) 행동은 adaptation(적응) 행동과 마찬가지로 학습되어진 것으로 본다. 따라서 행동주의모델은 observe되는 행동에 초점을 두고,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은 줄이며, 바람직한 행동은 강화하도록 한다. 주요 학습과정은 reaction 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화, observe학습의 세 가지로 대표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