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예술의 관점에서 본 이상 시의 혁명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6 20:07본문
Download : 시각예술의 관점에서 본 이상 시의 혁명성.hwp
(1) 만일 이상 시의 시각적 속성이 서구 다다이스트들이 보여준 실험시의 형태와 유사한 성격을 갖고 있다면 다다의 어떤 속성과 관계하기 때문인가? 즉 다다 이념과 다다이스트들의 시에 적용된 구체적인 작업논리는 무엇인가? (2) 이상이 시에서 실제로 사용했던 작업논리는 무엇이며, 그것은 시어와 구조 속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었는가? (3) 이상 시는 다다와 이를 계승하는 `具體詩`로 표명되는 현대 실험시의 맥락과 비교해 어떠한 차이점을 갖고 있는가? (4) 결론적으로 위에서 밝혀진 이상 시의 시각적 속성은 시각예술에 있어 어떠한 가치와 의미를 갖는가? , 시각예술의 관점에서 본 이상 시의 혁명성감상서평레포트 ,
다.
II. 다다의 이념과 성격
과연 다다란 무엇인가? 규명에 앞서 먼저 전제해야할 것이 있다아 다다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른 예술사조 또는 문학운동과는 달리 뚜렷하게 특정 `이즘` 또는 `운동`의 차원에서 일반화될 수 있는 성격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것은 20세기 초 1차세계대전을 전후로 유럽에서 일어난 여러 아방가르드 유파들의 크고 작은 experiment(실험)들과 관련된 수많은 개인들에 의해 복잡하게 짜여진 일종의 거미줄과 같은 연결망이었기 때문일것이다 다다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태리 未來파, 프랑스의 입체파,
러시아의 구성주의와 입체-未來파(Cubo-Futurism), 독일 표현주의, 그리고 네덜란드의 데스틸(De Stijl) 운동 등이 제공한 비옥한 토양 위에서 배양되었다.
I. 문제제기: 이상연구와 방법의 재조명
II. 다다의 이념과 성격
III. 한국 다다이즘과 이상
IV. 다다와 이상의 구체시
V. 이상 시의 혁명성
연구 대상과 범위에서 본 연구자는 이상의 초기 시 형태를 대상으로 分析하고자 한다. 이상의 초기 시란 그가 애초에 일상적인 한글언어를 사용한 초기 소설류를 선보이면서 조선총독부 건축과 기관지 「조선과 건축」에 발표한 일어로 쓴 일련의 시, 즉 `이상한 가역반응`(1931.7),` `오감도`(1931.8),‘삼차각 설계도: 선에 관한 각서` 시리즈(1931.10),‘건축 무한 육면각체`(1932.7)와 연작시로 「조선중앙일보」(1934.7.24~8.8)에 발표한 오감도 계열의 한글로 된 시들을 지칭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주변 예술사조들의 이념과 양식이 다다에 모두 흡수된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취해졌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未來파의 影響(영향)을 받은 어떤…(skip)






최근 연구의 성과와 제한점들로부터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의문점들을 추적하고자 하는데 있다 (1) 만일 이상 시의 시각적 속성이 서구 다다이스트들이 보여준 實驗(실험)시의 형태와 유사한 성격을 갖고 있다면 다다의 어떤 속성과 관계하기 때문인가? 즉 다다 이념과 다다이스트들의 시에 적용된 구체적인 작업논리는 무엇인가? (2) 이상이 시에서 실제로 사용했던 작업논리는 무엇이며, 그것은 시어와 구조 속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었는가? (3) 이상 시는 다다와 이를 계승하는 `具體詩`로 표명되는 현대 實驗(실험)시의 맥락과 비교해 어떠한 차이점을 갖고 있는가? (4) conclusion(결론)적으로 위에서 밝혀진 이상 시의 시각적 속성은 시각예술에 있어 어떠한 가치와 의미를 갖는가?
순서
Download : 시각예술의 관점에서 본 이상 시의 혁명성.hwp( 30 )
설명
,감상서평,레포트
레포트/감상서평
시각예술의 관점에서 본 이상 시의 혁명성
최근 연구의 성과와 제한점들로부터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의문점들을 추적하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연구자는 같은 시기 `카톨릭 청년` 등지에 이상이 발표했던 다른 시들도 연구의 범위에서 제외시키고자 한다. 이 중 오감도 계열의 총 15편의 시에 대하여는 기본적으로 같은 맥락에서 쓰여진 것으로 간주하지만, 본 연구의 논의상 시각적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일부 시(시제1호~시제5호)로 범위를 제한하기로 한다. 다다는 분명 이러한 모든 예술사조들의 스타일과 관계하고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