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강대국의 동북아 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8 00:38
본문
Download : 4강대국의 동북아 정책.hwp
4강대국의동북아정책
레포트/인문사회
4강대국의 동북아 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미국은 현재 동북아 안정에 가장 위협이 되고 있는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생산을 저지하는데 주안점을 두면서 한국의 대북 포용정책을 지원하고 있다아 북한에 대한 중국(China)의 effect력을 …(투비컨티뉴드 )
순서
4강대국의 동북아 정책에 대한 자료(資料)입니다.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다. 4강대국의동북아정책 , 4강대국의 동북아 정책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4강대국의 동북아 정책.hwp( 52 )
4강대국의 동북아 정책
Ⅰ. 序
Ⅱ. 주변 4강대국의 동북아정책
1. 중국(China)의 동북아정책
2. 미국의 동북아정책
3. Japan의 동북아정책
4. 러시아의 동북아정책
Ⅲ. 結 (동북아 정세 및 展望)
※ bibliography
전세계는 지금 새로운 밀레니엄으로의 진입을 앞두고 21世紀 생존과 발전을 위한 장기전략(strategy)을 구상하고 있으나, 한반도는 아직도 통일을 이루지 못하고 분단의 고도로 남아있다아 한반도에서 미, 일, 중, 러 4국의 이해가 첨예하게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한반도 평화와 통일은 남북한 당사자의 노력 이외에도 주변 4국의 이해관계가 어떻게 교차하느냐의 여부, 즉 동북아 질서變化(변화) 방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아
그런데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의 현 질서는 탈냉전기의 새로운 질서를 모색하는 과도기에 처해있다아 동북아 지역국가들이 대내 경제발전을 위해 지역안정과 평화를 유지해 나가야 한다는데 공감함으로써 어느 때 보다도 평화의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지만, 강대국간 지역 주도권 장악을 위한 대립과 북한문제는 지역안정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아 이들 지역안정 저해요인을 어떻게 대처해 나가느냐에 따라 21世紀 동북아의 새로운 정치. 경제질서의 모습이 결정될 것이다.
미국은 가능한 최소한의 부담을 통해 동북아질서를 주도해 나가겠다는 정책목표(目標) 아래 Japan, 한국 등 지역국과 동맹관계를 강화하고 있다아 1996년 3월 중국(China)이 대만을 군사적으로 위협한 이후부터 미국은 Japan과의 안보협력 강화를 통해 동북아 안보를 유지해 나가려 하고 있다아 1997년 Japan과 [신방위협력지침]을 공표하고, 1998년에는 Japan과 [전역미사일방어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공동 연구하기로 합의하였다.
동북아 국제질서는 세계 유일 패권국인 미국과 세계 최대 개발도상국이면서 소련붕괴 이후 미국을 견제할 수 있는 잠재적 군사, 경제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China) 그리고 경제대국 Japan이 주도하고 있다아 동아시아 경제위기 이후 한국과 러시아는 대내문제 해결에 주력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여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역할만을 행사하고 있는 상황이다.